인천지역 기업의 61.8%가 미·중 갈등, 러·우전쟁, 중동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위험’ 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인천상공회의소가 인천지역 소재 기업 17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가 인천지역 기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이다.
22일 인천상의에 따르면 인천지역 기업은 이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일시적 실적 저하’(28.8%)와 ‘경쟁력 저하’(27.1%)를 주로 겪고 있었으며 ‘사업존속 위협’(5.9%)까지 체감하는 기업도 일부 나타났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기업(1.8%)도 일부 있었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장기화됨에 따라 인천지역 기업은 주로 ‘기존 수출시장 외에 신규 대체시장 발굴’(42.4%) 또는 ‘해외조달 부품·소재를 국내 조달로 전환’(28.9%)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외 지정학 리스크 대응 조직을 신설’한 기업은 4.4%에 그쳤다.
응답기업의 35.3%는 향후 지정학적 리스크가 기업 경영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 수준과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 또한 35.3%로 파악됐다. 한편,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답한 기업은 24.1%를 차지했으며 ‘지금보다는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을 한 기업은 4.1%에 그쳤다.
응답기업의 50.0%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대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응의 필요성을 느끼고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인 기업은 31.8%로 나타났으며, ‘대응이 매우 필요해 이미 대응책을 마련한’ 기업도 4.1%로 조사됐다. 반면 ‘대비의 필요성이 없다’고 답변한 기업은 14.1%로 파악됐다.
인천지역 기업들이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고자 마련한 주요 전략은 ‘비용절감·운영효율성 강화’(35.8%), ‘대체시장 개척 및 사업다각화’(24.8%), ‘공급망 다변화 및 현지 조달 강화’(20.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어서 ‘환차손 등 금융리스크 관리’(12.0%), ‘글로벌 사업 축소’(2.9%) 순으로 응답했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해외 시장에 대한 접근 제한이 장기화될 경우 기업들의 피해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신속하게 파악해 지원책을 마련하고, 공급망 다변화 지원 등도 함께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