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판 스타벅스’로 불리는 루이싱커피가 중국 커피 시장의 치열한 저가 경쟁에서 우리 돈 2000원도 안 되는 아메리카노를 앞세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스타벅스가 중국에서 적극적인 마케팅 정책을 펼쳐 선방하고 있지만 루이싱커피와의 격차는 더욱 확대되는 양상이다.
30일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루이싱커피는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2% 급증한 88억 7000만 위안(악 1조 7400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7억 3700만 위안, 영업이익률은 8.3%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7142만 위안 영업손실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 직영 매장의 영업이익률은 17.1%로 전년 동기(7.0%) 대비 증가했고 월평균 고객 수도 7427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0%나 늘었다. 전 세계 루이싱커피 매장 수는 2만 4097개로 지난해 4분기에 비해서도 7.9% 늘었다. 중국 시장에서 1743개 매장이 순증(홍콩 5개 포함)하면서 매장 수는 총 2만 4032개로 증가했다. 직영점은 1만 5541개, 가맹점은 8491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14개 매장이 순증하며 총 매장 수는 65개가 됐고 싱가포르에 57개, 말레이시아에 8개가 운영 중이다.
루이싱커피는 9.9위안(약 1940원) 아메리카노를 앞세워 중국 내 커피 저가 경쟁에 뛰어들면서 지난해 1분기까지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루이싱커피 출신들이 비슷한 콘셉트로 만든 쿠디커피에서 아메리카노를 8.8위안에 파는 등 ‘치킨게임’은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루이싱커피는 고품질 공급망 구축에 나서며 원가 절감과 고객 만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네시아 방가이섬을 루이싱커피 독점 생코코넛 아일랜드로 조성하고 생코코넛라테의 주원료인 코코넛밀크의 독점적 고품질 원산지로 삼았다. 광시성 헝저우에는 루이싱커피만의 재스민 생산 구역까지 마련했다.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단 디지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재고 관리, 판매 예측, 고객 서비스 측면에서 업그레이드됐다.
한편 중국 토종 커피 브랜드에 밀린 스타벅스는 올 1분기 5% 증가한 7억 3970만 달러(약 1조 53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나 매장별 매출은 6% 줄었다. 매장 수는 같은 기간 9%(665개) 늘어난 7758개로 집계됐지만 루이싱커피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