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 년 동안 축적된 결제 인프라 구축 노하우를 한국의 차세대 수출 동력으로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부 중심으로 민관이 협력해 디지털 결제망 구축 외교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우상현 비씨카드 부사장 겸 신금융연구소장은 6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지급결제 중심의 금융 인프라 수출 전략은 상대국의 디지털 경제 전환과 결제망 자주권 확보를 도우면서도 대한민국의 선진 금융 기법을 세계에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차세대 경제협력 모델”이라며 “민간을 넘어 정부 차원의 육성 및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보다 지속 가능한 수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비씨카드는 2014년부터 인도네시아와 베트남·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아시아 주요국 중앙은행과 함께 결제 인프라 구축 및 고도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비씨카드의 노하우를 전수 받은 국가들은 결제주권을 확보하고 망 일원화를 통해 인프라 운영의 효율성을 높였다. 현금 중심의 지하경제를 양성화해 세수를 확보하고 거래 투명성도 제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자바우처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도 했다.
비씨카드 역시 결제망 수출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었다. 우 소장은 “결제망 등 금융 인프라는 국가 경제구조와 직결되는 사회간접자본인 만큼 중장기 수출 사업으로 추진돼야 한다”며 “현지 당국과의 우호적 관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국가 전략 사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비씨카드 측은 지난달 말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춘계 정책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금융 인프라 수출전략 및 기대효과’를 발표했다. 비씨카드는 앞으로도 학회 측과 금융 인프라 수출 모델의 경제적 효과와 국가 전략 산업으로의 발전 방안에 대한 공동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한국국제경제학회장을 맡고 있는 허현승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가 향후 디지털 경제외교를 강화하고자 한다면 철도나 항만 같은 자본 집약적 사회간접자본에서 나아가 금융 인프라 수출에도 본격적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