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2025’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의 디스플레이상’을 수상하고 LG디스플레이(034220)는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대거 선보이는 등 국내 업체들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력을 자랑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13~15일(현지 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SID 2025’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참가한다. SID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기업·연구진이 모여 새 기술과 제품을 전시하고 연구 논문을 발표하는 행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무편광판 OLED 기술 ’LEAD’로 SID가 선정한 올해의 디스플레이상(DIA)을 받는다. LEAD는 삼성디스플레이가 2021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로 외부 빛의 반사를 막는 기능을 내재화해 디스플레이의 밝기인 휘도를 높이고 소비 전력을 줄였다. SID는 “휘도를 개선하고 야외 시인성을 높였으며 동시에 패널 두께도 20% 더 얇게 만들었다”고 호평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 기술을 스마트폰은 물론 다른 정보기술(IT) 제품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미래 모빌리티에 최적화한 세계 최고 수준의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선보인다. 차량 내 모든 공간을 디스플레이화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솔루션’은 화면을 최대 50% 키웠고 일반 모니터 수준의 고해상도와 적·녹·청(RGB) 모든 색상을 구현한다. 또 차량 실내 천장에 돌돌 말아 숨길 수 있는 ‘슬라이더블 OLED’ 등 다양한 폼팩터 제품도 함께 전시한다. 이 제품은 영하 40도부터 영상 85도까지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했다.
LG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상용화한 시야각 제어 기술 SPM 모드도 공개된다. 동승자가 조수석 앞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화를 감상하거나 게임을 해도 운전석에서는 보이지 않아 안전한 운전을 돕는 기술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