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인천·경기 등 22개 지역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산하 시내버스 노조가 노사 교섭 결렬 시 이달 28일 동시 총파업을 예고했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조연맹은 8일 전국 대표자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회의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자동차노조연맹 측은 “각 지역 노조는 이달 12일 동시에 조정 신청을 하고 15일간의 조정 기간에 최선을 다해 교섭에 임하기로 했다”며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28일 첫차부터 전국에서 동시 파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통상임금 문제와 관련해 각 지역별 버스 노조의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통상임금 개편 등을 놓고 임금·단체협약을 진행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지난달 29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2차 조정 회의가 결렬된 후 노사 간 교섭은 중단됐고 노조는 4월 30일에 이어 이달 7일 준법투쟁을 진행했다.
노조 측은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른 ‘정기 상여금 등 통상임금 인정’ 문제는 교섭 사항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 관계자는 “이달 27일까지 안전운행을 지속하되 구체적인 쟁의행위 방법은 자체적으로 결정할 것”이라며 “사측이 성실하게 교섭에 임하지 않거나 통상임금을 포기하라는 요구 등을 한다면 28일 전이라도 일부 파업 등에 돌입하며 쟁의행위 수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했다.
버스 노조가 15일간의 조정 기간에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합법적인 파업이 가능해진다. 27일 자정까지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28일 첫차부터 동시 파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시내버스뿐 아니라 고속버스·마을버스 등 전국에서 4만 대 규모의 운행이 중지될 수 있다. 한편 서울시는 대국민 호소 입장문을 통해 “시내버스 서비스의 개선 효과는 외면하고 예외적인 사례를 일반화해 위법 부당한 운전을 종용했다는 것은 사실을 호도하는 것”이라며 “시민들에게 조금의 불편도 드리지 않도록 고의 지연 운행에 대해서 단호하게 관리하고, 사후 평가도 철저하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