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울산시, 경남도와 함께 1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방문해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의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통과와 조기 구축을 공동 건의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들 3개 시도는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 공동화로 인한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도 중심의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망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부울경을 잇는 광역철도가 지역 간 대동맥 역할을 하려면 이번 예타 통과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2023년 6월 예타에 착수해 오는 6월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 사업은 총 연장 48.7km(부산 구간 8.9km)로 11개 정거장(부산 2곳)이 설치되며 사업비는 약 2조 5000억 원 규모다. 노선은 부산(노포)~양산(웅상)~울산(KTX울산역)을 잇고 부산1호선, 정관선, 양산선, 울산1호선 등 4개 도시철도와 직접 연결된다.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형성하고 산업·물류·배후단지 기능을 활성화해 지역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3개 시도는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이 노선은 KTX울산역에서 양산을 거쳐 김해(경전선)까지 연결되며 지난해 12월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해 오는 12월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이날 방문에는 임경모 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과 울산시 교통국장, 경상남도 교통건설국장이 함께했다. 임 실장은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만들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사업인 광역철도망 확충의 필요성과 염원을 3개 시도가 함께 전달했다”며 “앞으로도 한마음으로 광역철도망 구축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