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산업의 지속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폐플라스틱, 폐타이어 등 순환자원의 재활용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정부의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치가 2030년 전국으로 확대될 경우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순환자원의 시멘트 원료 재활용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은 12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가 개최한 ‘3RINCs(The 3R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2025 국제학술대회'에서 "혼합 폐기물 선별을 통해 재료 재활용과 열분해 및 에너지 회수를 확대해야 한다”며 “시멘트 시설의 역할은 가연성 폐기물의 안정적 관리 및 에너지 회수를 위해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가연성 폐기물 발생량은 약 4100만 톤에 달한다. 이 중 총 320만 톤이 매립되는데 생활 폐기물 매립량은 200만 톤에 이른다. 이 가운데 140만톤은 가연성 폐기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026년부터 수도권에서 폐기물 매립금지 조치가 시행되고 2030년 전국으로 확대될 경우 쓰레기 대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환경부 자원순환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수도권에서 종량제 봉투에 담겨 배출되는 쓰레기는 하루 평균 1만 257톤이다. 이 중 재활용되는 양은 1817톤이고, 소각과 매립은 각각 5745톤, 1692톤이다.
문제는 매립이 허용되지 않으면 이를 처리할 시설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2023년 공공소각장의 하루 처리량은 6458톤에 불과해 직매립 금지로 추가 처리해야 할 폐기물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이에 전문가들은 가연성 폐기물의 시멘트 산업 재활용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전 세계 시멘트 업계도 탄소감축을 위해 화석연료인 유연탄 대체연료로 폐플라스틱 등 가연성 폐기물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폐기물 연소과정에서 독성 화학물질인 염소 배출 등 환경문제로 순환자원 재활용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홍 소장은 “가연성 폐기물 관리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가연성 폐기물 처리 기업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며 “이는 관련 인프라의 안정적 구축이 선행되지 않으면, 쓰레기 대란 위기 발생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어 가연성 폐기물 발생량 및 처리량, 시멘트업계, 소각로 등의 폐기물 처리량 통계를 분석해 안정적인 시장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2년 가연성 폐기물은 지방 소각장에서 500만 톤, 시멘트 시설에서 252만 톤, 민간 소각장에서 248만 톤이 처리됐다. 2020년 대비 시멘트 생산시설의 처리량은 약 90만톤 증가해 시멘트 산업이 폐기물 처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홍소장은 “가연성 폐기물의 직접 매립 및 소각은 금지돼야 하며, 혼합 폐기물 선별을 통해 재료 재활용, 열분해 및 에너지 회수를 확대해야 한다”며 “시멘트 시설의 역할은 가연성 폐기물의 안정적 관리 및 에너지 회수를 위해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시멘트산업에 정통한 전문가로 잘 알려진 피터 호디노트 전 회장도 이번 행사에서 “유럽에서 생산되는 시멘트의 약 80%는 순환자원 재활용 대체연료를 활용해 제조되고 있다"며 "약 25%는 저탄소 순환자원이 혼합시멘트의 클링커 대체재로 재활용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한국 시멘트 산업은 이미 높은 기술 전문성과 품질 관리 역량을 갖추고 있어 자원 재활용에 대한 우려는 과장된 면이 있다"며 "이는 한국 건설산업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시멘트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놓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