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건설이 어류의 체내 수은을 축적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 연구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영광 박사 연구팀은 지난 30여 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해 댐 같은 인프라가 서해안 독성 물질의 생물 축적 양상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30년간 서해안 해양생물 샘플을 분석했다. 그 결과 조개 등 패류의 수은은 96% 감소했지만 물고기의 수은은 오히려 1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퇴적물 때문으로, 하구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일반 수은은 74% 줄어든 반면, 독성이 훨씬 더 강하고 몸 속에 쉽게 쌓이는 ‘메틸수은’은 무려 536%나 늘었다.
또한 연구팀은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수은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 결과 댐 건설 이전에는 주로 강을 통해 산업단지나 육지에서 흘러온 수은이 하구로 유입 됐지만 댐이 세워진 뒤 강의 흐름이 막히면서 하구로 들어오는 수은의 양이 줄어들고, 대신 비나 대기 중 먼지에 섞인 수은이 주요 공급원이 됐다. 수은은 다양한 미생물을 만나 독성 강한 메틸 수은으로 바뀌었다. 실제로 하구 퇴적물 속 메틸수은 농도가 5배 이상 늘어났고, 먹이사슬을 타고 물고기 내에 쌓였다. 이는 댐이 단순히 수질만 바꾼 것이 아니라 생태계 내에서 독성물질의 이동과 축적 방식 자체를 완전히 바꿔버렸다는 뜻이다.
권 교수는 “이 연구는 단순히 오염의 양뿐 아니라, 그 오염이 생물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며 “환경영향평가나 수질관리 정책에서도 이와 같은 미세한 생지화학적 변화까지 고려하는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지원사업과,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해양수산생명자원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