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열린 경제 분야 TV 토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상대로 한 통상 전략을 두고 격돌했다. 특히 관세 협상 시기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조기 타결할 필요가 없다”고 신중론을 폈지만 김 후보는 “관세 유예가 종료되기 전에 끝낼 것"이라고 자신하며 시각차를 드러냈다.
이날 서울 상암동 SBS 공개홀에서 경제를 주제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초청 1차 TV 토론회에서 이재명 후보는 앞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대미 통상 협상 과정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자랑스러워할 것”이라고 발언한 것을 문제 삼았다. 그는 "이건 퍼주기 하겠다는 취지”라며 “서두르면 안 되는 것 아닌가. (차기) 정부 구성도 안 됐는데 왜 서두르나”라고 김 후보를 공격했다.
김 후보가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해결하자는 것”이라고 반박하자 이재명 후보는 “통상 문제는 매우 심각한 문제인데 일상적인 잡무를 처리하듯이 하면 안 된다”고 몰아세웠다. 그러면서 수출시장·품목 다변화와 전략적 통상 정책 추진을 강조했다.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기간으로 정한 7월 8일까지 이른바 '줄라이 패키지' 타결을 약속한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과거 발언을 파고들었다. 김 후보는 “통상 문제 해결을 위해서 대통령의 외교적 신념과 국제 사회의 신뢰가 중요하다”면서 2017년 성남시장 시절 ‘미군 철수’ 발언과 지난해 당 대표 당시 ‘셰셰’(謝謝·고맙습니다) 논란 등을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가장 우호적이고 신뢰 관계가 형성돼 있다”고 자처한 김 후보는 “우리나라는 한미동맹이 매우 중요한데 이재명 후보의 발언을 보면 미국으로서는 상당히 끔찍하다”며 이재명 후보의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걱정 안 해도 된다”고 맞받아치며 “한미동맹은 중요하고 앞으로도 확장하고 발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안보, 경제 등 포괄동맹으로 발전해나가야 하는 기본 축인 건 분명하지만 완전히 의존해선 안 된다”며 “중국, 러시아 등과 관계를 완전히 배제할 필요가 없다. 외교는 국익을 중심으로 실용 중심으로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관세 전쟁에서 가장 위험한 건 중소기업”이라고 주장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해상풍력 발전 공약을 두고 “풍력 발전 부품 대부분이 중국산인데 중국을 위한 게 아니면 무엇이냐”고 공격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