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동두천시가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미군 공여지 장기 반환 지연에 따른 피해 보상 및 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한 지역의 핵심 현안 10개 사업을 여야 대선캠프에 전달하고, 공약으로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이번 건의자료에 특별한 희생에 대한 국가적 보상과 함께, 법령과 제도 개선 및 국비 지원이 시급한 지역 현안을 담았다.
시는 우선 수십 년간 국가안보와 한미동맹을 위해 감내한 희생을 강조하며 미군 공여지 장기 반환 지연에 따른 피해 보상 및 대책 마련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이어 시민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국가 기반 시설 확충 사업으로는 △제2순환고속도로 북양주나들목 포천방향 진출입 램프 설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C 노선 연장 조기 승인 △경원선 증편(셔틀전동차 운행) 조기 승인 및 1호선 직결 증편 △광역교통망과 연계한 남북고속도로 건설 등을 건의했다.
또 국비 지원이 필요한 사업으로는 △동두천 중앙역세권 성매매집창촌 도시재생 사업 △폴리텍대학 동두천 융합기술 교육원 설립 등을 요청했다.
아울러 제도 개선과 법령 정비가 필요한 사안으로는 경기북부 의과대학 설립 지정과 ‘세컨드홈’ 특례 인구감소관심지역 확대, 기회발전특구(평화경제특구) 지정 등을 제안했다.
동두천시는 74년간 시 면적의 42%에 달하는 부지를 미군 공여지로 제공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연간 300억 원 이상의 지방세 손실과 약 5278억 원 규모의 경제적 피해를 감내해 왔다. 그러나 오랜 기간 국가안보를 위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동두천은 각종 규제와 인프라 부족으로 정주여건이 악화되고 지역경제가 침체되는 악순환에 시달리고 있다.
동두천시 관계자는 “동두천시는 미군 공여지 등으로 인한 지역의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고 정주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국가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라며 “주요 정당이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국가 정책과제에 포함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앞으로도 대선 후보자 지역 방문과 각 정당의 공약 발표 시점 등에 맞춰 지속적으로 건의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