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양주시가 주민들의 원정 화장 등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북부 지역 6개 지자체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종합장사시설 건립과 관련해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실과 무관한 내용이 무분별하게 확산하고 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20일 양주시에 따르면 최근 일부 온라인 카페 등에서는 종합장사시설과 전혀 관련 없는 민간 추모시설 간의 법적 분쟁 사례를 끌어 들여, 이번 사업이 특정인의 사적 이익과 연관된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 이런 내용은 온라인 특성 상 별다른 사실관계 확인 없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이같은 연계 시도를 공공사업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려는 부적절한 행위로 보고 있다. 특히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화장터, 납골당, 죽은 자의 도시’ 등 선정적인 표현으로 거부감을 선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시는 사실관계를 바로 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사업은 6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순수 재정사업"이라며 "사업의 전 과정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경기도 등 관련 중앙 및 광역 행정기관의 엄정한 심사와 평가를 거치고, 민간 자본이나 특정인의 이익이 개입될 여지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예산 배분부터 부지 선정, 시설 규모, 운영 방식 등 모든 요소는 공공 절차를 통해 투명하게 결정된다"며 "추후 운영 또한 양주도시공사에 위탁돼 정산과 감사를 포함한 철저한 공공 관리 체계로 이뤄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고양시에 소재한 서울시립승화원을 제외하면 경기 북부 9개 지자체에는 장사시설이 단 한곳도 없다 보니 이번 사업에 의정부와 남양주, 구리, 포천, 동두천 등 6개 지자체도 뛰어 들었다.
지자체가 운영할 경우 이용료도 크게 저렴해질 예정이다. 실제로 시가 운영하는 경신하늘뜰공원 봉안당의 안치료는 50만 원 수준으로 민간 대비 10배 이상 저렴하다.
양주시 관계자는 "종합장사시설 역시 이와 유사한 수준에서 운영될 것이며, 시설의 목적은 오직 시민의 복지 증진과 장례 인프라의 공공성 확보에 있다"며 "시민의 알 권리를 존중하고, 건전한 의견에는 언제든 귀를 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온라인상에 떠도는 자극적인 주장보다, 시가 제공하는 공식 자료와 투명한 행정 절차를 바탕으로 판단해주길 당부한다"며 "종합장사시설은 특정인을 위한 사업이 아닌 오직 시민 모두를 위한 공공시설"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