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한 '팬데믹 협약'이 채택됐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 회원국들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연례 총회에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팬데믹 협약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전날 이뤄진 투표에선 125개국이 찬성한 가운데 폴란드, 이스라엘, 러시아 등 10개국이 기권했으나 반대한 국가는 없었다.
3년 간의 협상 끝에 도출된 이번 협약은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이 재발할 경우 보호장비 조달을 상호 조율하고 사람과 동물을 포괄하는 질병 감시체제를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제약사들은 팬데믹 발생 시 백신과 치료제, 진단키트의 20%를 WHO에 할당해 저소득 국가에 지원하도록 의무화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 협약은 공공보건과 과학, 다자간 행동의 승리"라며 "미래 팬데믹 위협으로부터 세계를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는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발생해 전 세계로 확산한 이후 2023년 5월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 해제 전까지 약 700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당시 선진국들의 백신·의약품 사재기가 잇따르면서 물량 확보에 실패한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등지 빈국들의 고통이 가중됐다. 이번 WHO 협약은 이같은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체결됐다.
다만 일각에선 회원국들이 협약을 지키지 않아도 제재할 수단이 명확치 않아 당초 목표했던 것에 비해선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란 비판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WHO 탈퇴 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도 이번 협약의 실효성을 떨어뜨린다는 평가다. 미국은 WHO 예산의 5분의 1을 책임져 왔고 지난 2년간 WHO가 모금한 긴급 자금의 34%를 기부했다. 그러나 올해 1월 미국은 WHO에 탈퇴를 통보했고, 규정에 따라 서면 통지 후 1년이 되는 내년 1월 22일 정식으로 탈퇴하게 된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총회에서도 미국 측 대표단은 논의가 시작하자마자 퇴장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협약은 병원(病原) 정보 공유 등 부속서 내용 협상이 완료될 때까지 발효되지 않는다. 추가 협상은 올해 7월 시작돼 최장 2년이 소요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