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가 인천국제공항에서 로봇이 주차된 전기차를 자동으로 충전해주는 서비스를 실시한다.
현대차·기아는 인천국제공항 공사에서 ‘AI 기반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기술 검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양희원 현대차·기아 연구개발(R&D) 본부장 사장과 이학재 인천국제공항 공사 사장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국내 최대 규모의 친환경차 인프라를 보유한 인천국제공항에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업무용 차량을 모두 친환경차로 전환한 인천국제공항은 2026년까지 1110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협력으로 국가 보안 최고 등급 지역인 공항 시설에서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사업을 확대할 기반을 갖추게 됐다.
현대차·기아는 이번 실증 사업에 외팔형 로봇을 투입한다. 이 로봇은 충전기를 들어 차량 충전구에 연결한 뒤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를 뽑아 제자리에 돌려놓는 역할을 수행한다. 충전구를 정확히 인식하도록 3차원(D) 카메라 기반의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실증 사업을 위해 업무용 친환경차를 대상으로 자동 충전 로봇의 실제 서비스를 검증하고 공사 직원들의 피드백도 수집해 공유할 예정이다.
현대차·기아와 인천공항공사는 이번 협력을 발판으로 향후 항만과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인프라에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서비스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협력 모델을 만들어나갈 방침이다. 양 사장은 “현대차그룹의 로봇 및 AI 기술력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축적된 운영 경험이 융합돼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실질적 효용을 검증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의 여객 서비스 향상과 운영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인프라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공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