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등학생들의 우울감 등 정서적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이 19일 발표한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3차년도 결과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우울감 지수는 2021년 0.51점에서 2023년 0.73점으로 상승했다.
불안 지수 역시 같은 기간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과도한 걱정'은 0.44점에서 0.58점으로, '예민함'은 0.41점에서 0.49점으로, '부정적 정서'는 0.17점에서 0.26점으로 모두 높아졌다. 이번 조사는 서울 소재 초·중·고 310개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특히 2021년 초등 4학년이었던 학생들을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다.
연구진은 이러한 부정적 감정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디지털 환경과 양육 방식의 변화를 지목했다. "학생들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등을 통해 타인의 삶을 간접 경험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80년대생 부모'의 양육 태도가 미치는 영향이다. 연구 자문위원은 "작은 좌절과 불안에 지나치게 보호받는 아동일수록 오히려 불안 수준이 높다"면서 "80년대생 학부모의 과보호가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외에도 학업·교우관계 스트레스,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감과 경제적 어려움, 수면시간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