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상근 부산항만공사(BPA) 사장이 ‘글로벌 항만 경영’ 강화를 위해 유럽 주요 국제협의체 및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본격화했다.
26일 BPA에 따르면 송 사장을 포함한 이 기관 출장단은 21일과 23일 각각 독일 함부르크와 영국 런던을 방문해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화 등 항만산업의 핵심 의제에 선도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송 사장은 먼저 함부르크항만공사에서 함부르크항만공사 사장이자 국제항만협회(IAPH) 총재 옌스 마이어와 면담을 갖고 디지털 전환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BPA는 자체 구축·운영 중인 포트커뮤니티시스템(Port Community System)이 세계은행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등 디지털화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BPA는 IAPH 데이터 협력위원회(DCC) 활동 강화, 항만 사이버 보안, 개도국 항만의 디지털 전환 지원 등 글로벌 디지털 항만 정책 논의에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이어 송 사장은 영국 런던 IMO(국제해사기구) 본부를 찾아 환경국장, 기술협력국장 등과 간담회를 갖고 해운·항만 부문의 탈탄소화 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최근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83)에서 선박 탄소세 부과가 결정됨에 따라 BPA는 LNG·메탄올 등 차세대 연료 벙커링 인프라 구축과 개도국 기술 지원 방안 등을 소개하며 국제 탈탄소화 정책에 선제적으로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송 사장은 “이번 방문은 BPA가 국제 해운·항만 정책 형성에 책임 있는 주체로 도약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됐다”며 “국제 항만사회와의 연대와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과 탈탄소화 등 글로벌 의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BPA는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 2500만TEU 달성과 세계 2위 글로벌 거점 환적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항만 인프라 확충, 운영체계 효율화, 해외 물류거점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