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넘게 규제로 묶인 인천시 수봉공원 일대의 고도 제한이 도시 여건에 맞춰 정비될 예정이다. 정비 작업이 완료되면 이곳 주택 정비나 재개발 등 개발사업 추진에도 활기를 띠게 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27일 도시계획국 기자간담회에서 수봉공원 일대를 도시 여건 변화에 따라 조망점과 고도지구의 높이 기준을 재검토하는 규제 완화 작업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2월 ‘수봉 고도지구 정비 용역’을 착수했다.
용역을 토대로 시는 수봉산이 지닌 경관적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주민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높이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번 정비는 시의 규제완화 정책과 연계해 통일성 있게 추진된다. 시는 이미 제물포르네상스 핵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자유공원과 월미공원 일대의 고도 제한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곳 규제 완화는 건축물 높이에 대한 중복 규제를 해소하고 보다 유연한 관리를 위해 고도지구를 폐지하고 지구단위계획으로 일원화해 관리하는 게 주요 골자다. 시는 수봉 고도지구 역시 이러한 방식과 동일하게 정비해 나갈 예정이다.
시는 정비 용역 결과 등을 반영해 오는 하반기 도시관리계획 변경을 위한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내년 2월께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
수봉산(해발고도 107.2m)은 평탄한 시가지로 형성된 미추홀구 중심부에 있어, 인천시를 대표하는 주요 랜드마크로 높은 상징성과 경관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공원·녹지가 부족한 미추홀구에서 시민들에게 휴식과 문화 공간을 제공하고, 인천의 역사와 유래를 되새기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활용돼 왔다.
이에 수봉공원 일대는 경관 보호를 목적으로 1984년 고도지구로 지정됐으며, 이후 세 차례에 걸친 규제 완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부분의 건축물 높이가 15m 이하로 제한돼 있다. 이로 인해 주민들의 주택 정비나 재개발 등 개발사업 추진이 어려워 사업성이 떨어지고, 노후 건축물이 점차 늘어나면서 주거환경이 악화돼 도심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수봉공원 일대의 고도 제한 규제를 완화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정주 여건을 제공하고, 도심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경관을 조성해 나가겠다”라며 “앞으로도 지역 간 균형발전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도시계획 정책을 발굴해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