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범위 등을 놓고 팽팽하게 맞서는 경남 창원 시내버스 노사가 마지막 협상에 27일 돌입하는 가운데 행정 당국이 파업에 대비해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창원시는 ‘비상수송 대책 본부’를 구성하고 대체 교통수단 확보에 나선다고 이날 밝혔다. 시에 따르면 현재 지역 14개 시내버스 회사 중 준공영제 운송사 9개 업체가 오는 28일 첫 차부터 예정된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들 업체 노조는 지난 23일 조합원 투표를 거쳐 85.6% 찬성으로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이들이 운행 중인 버스는 총 669대로, 전체의 95%에 해당한다.
이날 오후 2시부터 경남지방노동위원회 주관으로 노사 간 제2차 특별조정 회의에서 마지막 조정 절차가 진행 중인 가운데 노조는 현재 임금 8.2% 인상, 정년 63세에서 65세로 연장 등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해 12월 19일 대법 전원합의체의 통상임금 기준 변경 판결을 내세워 △정기 상여금 △하계 휴가비 △체력 단련비 등 의무 반영을 요구하고 있다.
통상 임금은 각종 수당과 퇴직금을 산정하는 기준이 된다. 노조 측 주장이 모두 관철되면 임금이 25% 수준 상승한다는 게 시 관계자 설명이다.
반면 사측은 통상임금 포함 여부를 두고 ‘협상 대상’이라고 못 박고 있다. 앞서 양측은 지난해 12월 20일 노사 상견례를 시작으로 논의에 돌입한 뒤 ‘교섭 결렬 및 조정 전 지원제’ 2차례를 포함해 총 7차례 협상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게다가 노조 측이 서울·부산·울산 등 다른 지역과 연대하는 모양새라 실제 파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양측이 이날 조정 기간 연장을 신청하면 유보될 여지도 있다.
시는 시민 피해를 줄이고자 비상수송체계를 구축한다. 우선 전세버스 170대, 시 소유 관용버스 10대를 긴급 투입할 계획이다.
전세버스는 시내 주요 버스노선(40개) 위주로, 관용버스는 읍·면 지역의 시내 환승거점 연결 노선(3개)에 배차한다. 이용 요금은 무료다.
또 출퇴근 시간대 7개 노선에서 지선버스를 대체해 지정된 정류장을 순환하는 노선형 택시를 180대 운영한다. 전세버스 투입이 어려운 읍·면 등 외곽지역에는 전화로 호출해서 이용하는 호출형 택시 서비스(150대)가 제공된다. 각 버스와 택시 요금은 무료 또는 1000원으로 책정해 시민 부담을 줄일 예정이다.
시는 탑승 도우미 340명과 현장 지원 인력 40명 등을 주요 정류소에 배치하거나 비상수송대책 안내 콜센터를 운영해 현장 혼란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상세 노선과 시간표는 창원시 누리집, 창원버스정보시스템(BIS)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계획에도 평소 투입되는 버스 수의 절반 이하 수준에 그쳐 시민이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종근 시 교통건설국장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시민의 안전한 이동권을 지키기 위해 시는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