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로봇·도심항공교통(UAM) 같은 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플러스 빌딩’ 기술 개발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시공 및 운영·관리 핵심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29일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소시엄과 연구개발(R&D) 착수 보고회를 열고 R&D가 종료되는 2028년까지 목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검토할 예정이다.
스마트플러스 빌딩은 기술·서비스 발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유연성과 포용성을 갖춘 건축물을 뜻한다. 국토부는 2023년 2월부터 산·학·연 83개 기관이 참여하는 '스마트 플러스 빌딩 얼라이언스'를 운영해 스마트플러스 빌딩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했다. 로드맵에서는 로봇이 다닐 수 있는 건축 공간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먼저 추진한 뒤 UAM, 자율주행차 친화형 건축 기술개발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 제시됐다.
이번에 착수한 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시공 및 운영·관리 핵심기술 개발 과제는 정부가 1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8년까지 진행한다. △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 기술 개발 △다수·다종 로봇 지원 시스템 및 건축물 운영·관리 기술 개발 △실제 건축물 실증 및 기술표준·인증제도 마련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실증 후보지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강동 경희대학교 병원, 포항 터미널 등 3곳이다.
국토부는 주기적으로 R&D 성과를 점검하고,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분야별 민간 전문가 자문을 통해 로봇·UAM·자율주행 등 분야별 연구성과가 실제 건축물에 적용·확산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문석준 국토부 건축정책과장은 "AI 혁명으로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건축물은 이러한 기술변화가 집약되는 집합체"라며 "건축물을 보다 스마트하고 편리하게 탈바꿈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