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 협상이 28일 낮 12시 55분 극적으로 타결됐다. 이날 첫 차부터 전면 중단됐던 시내버스 운행도 즉시 정상화됐다. 박형준 시장은 합의 직후 불편을 겪은 시민들에게 사과하며 준공영제를 전면 재점검할 의사를 밝혔다.
이번 합의에 따라 시내버스 노동자들의 임금은 10.48% 인상된다. 기존의 성과상여금과 하계휴가비 등은 폐지되고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방식으로 임금체계가 전면 개편된다. 정년은 기존 만 63세에서 만 64세로 1년 연장된다.
노사는 그동안 월 임금 8.2% 인상과 성과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해왔으나 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양측이 수용하면서 극적인 합의에 이르렀다. 이번 합의는 이날 오전 2시 40분께 조정 회의가 결렬된 지 약 10시간 만에 이뤄졌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내고 “이번 사태로 인해 출근길을 포함한 일상 곳곳에서 큰 불편을 겪으신 시민 여러분께 시장으로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면서 시민들에게 사과했다.
그는 “시는 이번 파업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사태 초기부터 긴박하게 대응체계를 가동했고 노사 양측의 입장 차가 컸던 협상 과정과 조정 절차가 끝난 상황에서도 중재자 역할을 포기하지 않았다”며 “파업 장기화로 인한 시민 불편과 지역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커질 것을 우려해 노사 모두에게 현실적인 양보와 책임 있는 자세를 강력히 호소해 왔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재정 부담과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며 “준공영제 예산의 70%가 인건비로 사용되고 있어 노사 모두 경영혁신과 재정 효율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4년 기준 버스업계는 282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시의 재정 지원 규모는 누적 미지급금까지 합산하면 5000억 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이번 임금협상 타결을 계기로 시는 준공영제의 투명성 강화와 재정 효율화 등 후속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박 시장은 “이번 파업사태를 계기로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전면 재점검하고 운영의 투명성과 재정 지원의 효율성, 책임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앞으로도 시민을 위한 도시, 신뢰받는 공공서비스를 위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