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숙제’, ‘밤샘 필수 시험’으로 전락했던 중·고등학교 수행평가가 앞으로는 수업 시간 중에만 이뤄져 학생들의 부담이 덜어질 전망이다.
교육부는 올해 2학기부터 수행평가 운영 방식을 개선해 암기 위주 지필 평가의 한계를 보완한다는 본래의 취지를 되살리겠다고 2일 밝혔다.
핵심은 앞으로 모든 수행평가에 대해 ‘수업 시간 내 이뤄진다’는 원칙을 철저하게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부모 등 외부의 도움을 받기 쉬운 ‘과제형’ 수행평가도, 전날 밤 시험 범위를 달달 외워가야 하는 ‘암기식’ 수행평가도 없애겠다는 취지다.
이에 따라 개별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해 학습 부담 유발 요인을 스스로 개선하도록 하고 시도 교육청은 매 학기 시작 전마다 모든 학교의 평가 계획을 면밀하게 점검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가 연간평가계획을 수립할 때 ‘과제형 수행평가 포함 여부’ 등을 묻는 체크리스트도 작성한 뒤 시도 교육청에 함께 제출하도록 할 예정"이라며 "교육청이 이를 2차적으로 확인한 뒤 보완 요구를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달부터 수행 평가 운영에 대한 현장 안내도 실시된다. 교육부는 7∼8월 중 시도 교육청마다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 도입 취지·평가 운영 관련 규정·유의 사항 등을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교육부는 시도 교육청과 협의해 수행평가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개선 요구 사항 등을 검토하고 필요 시 관련 지침도 개정하기로 했다.
앞서 2019~2020년에도 교육부는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지침(훈령)’을 개정해 교과 외 과제형 수행평가를 원칙적으로 금지한 바 있다. 하지만 강제성이 없는 조항이었기에 현장에서는 체감하는 변화가 크지 않다는 평가가 나왔다. 각 과목마다 있는 수행평가가 비슷한 시기에 몰리는 데다 지나치게 자주 시행되는 탓에 학생들의 수면권조차 보장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됐다.
교육부는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해 개선책을 마련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현장의 학습 부담을 더는 묵과하지 않겠다는 것”이라면서 “이후에도 계속 과도한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학교·교사가 있을 경우 교육청 차원의 주의 및 제재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