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일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과 관련해 '신뢰 회복'과 '대화'의 메시지를 내면서 의정 해빙모드가 무르익는 분위기다. 의사 출신으로서 의료계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가 임명되면 의정 간 대화를 통한 갈등 해결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의료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 회장은 이날 오늘 오전에 열린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서 나온 대통령 발언을 들어 "전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정책이 강행됐고 그 바탕에 신뢰가 부족했다는 점을 말씀하셨다. 이(의정) 문제에 대해 협회와 같은 인식을 갖고 있으며 해법 또한 다르지 않은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김 회장의 브리핑 참석은 당초 예정에 없던 일정이었다. 이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자 의료계 대표자로서 '의료 정상화'에 힘을 보태겠다고 화답한 것이다.
김 회장은 "대통령이 여러 가지 국가적 현안 중에 제일 자신 없는 분야가 바로 의료 사태라며 솔직한 마음을 보여주셨던 것 같다"며 "저희들과 함께 이 문제를 풀어나간다면 조속한 시간 내에 해결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이 복지부장관 후보 지명을 환영하는 의료계 성명을 언급한 데 대해서도 "조속한 시간 내에 복지부장관이 임명되고 의료계와 사태를 해결하라는 의미로 이해했다"며 "의료계도 진심을 다해 의료 시스템 재건과 국민 건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의사 출신 복지부장관 후보자를 지명하고, 의료계와 소통에 힘썼던 인사를 복지부 차관으로 임명한 데 이어 대통령이 의정 사태 해결 의지를 나타낸 점을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새로운 복지부 장관이 들어서면 의협을 중심으로 의정 간 대화가 성사될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김 회장은 중증·응급진료와 공중보건의 제도 위기 등을 들어 "현재 의료현장은 땜질식 처방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언급한 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미래의 의사, 전문의들을 양성하는 과정이 우선 정상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의대생들이 돌아와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의학교육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한 학년에 2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는 각 대학의 부담은 너무 클 것이지만 학생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서는 어려운 결단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이어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데 전문가들의 경험과 지식을 적극 반영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며 지역의료 격차 해소, 공공의료 문제, 저출생·고령화 등에 있어 "효과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정부와 대승적 협력과 대화를 이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또
"빠른 사태 해결과 신뢰를 강조한 정은경 장관 후보의 조속한 임명 결정을 통해 의료사태 해결을 위한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