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과 인구소멸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기업에 정부가 세제 혜택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정과 보상체계가 새로운 기업가정신을 촉발하고 궁극적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는 8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한국사회과학협의회와 공동으로 ‘지속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새로운 모색’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각계 전문가는 한국이 인공지능(AI) 전환과 통상환경 재편, 기후문제 등이 한 번에 닥친 복합위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 이를 해결하려면 기업와 사회, 정부가 함께하는 새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공감했다. 주체별로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을 핵심경영가치로 삼고, 사회는 협력적인 문화를 조성하며 정부는 사회적 가치를 정책·제도에 반영하는 실천 방안도 제시됐다.
김재구 명지대 교수(전 한국경영학회장)는 “과거의 경제시스템과 성장방식으로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기업은 사회문제 해결 역할을 확대하고 있지만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관리 체계가 없어 사각지대가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가치를 제도에 반영할 시스템을 설계하고 성과에 대한 인정과 보상체계를 구축하며, 예측가능한 규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미국처럼 기업의 기부활동을 5년까지 이월 공제가 가능하도록 해 장기 전략을 짜도록 돕고, 사설재단까지 기부 대상을 넓혀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보장하는 대안도 거론됐다.
최태원 SK(034730)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사회 문제 발생 속도는 빠르지만 정부가 비대해져 복지에 많은 돈을 쏟고도 효율적이지 못하다”며 “이러한 문제를 같이 풀 수 있는 사람(기업)에 경제적 인센티브를 줘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ERT는 대한상의가 2022년 발족시킨 기업 협의체로 약 1850개 기업이 참여 중이다. 기술과 문화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발전을 끌어나가는 '신기업가정신'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