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 결혼이 1년새 40% 이상 급증했다. 일본 언론은 이 현상의 배경으로 한류 열풍과 한국 경제력의 향상을 꼽았다.
니혼게이자신문(닛케이)은 13일 한국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혼인·이혼 통계’를 인용해 “최근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이 결혼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한국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 간 혼인 건수는 전년 대비 40% 증가한 1176건으로 집계되며 지난 10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 간 혼인은 147건으로 10년 전보다 5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한국 전체 혼인 건수는 10년 전보다 30% 감소했지만 국제결혼은 오히려 증가해 전체 혼인의 10%를 차지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본인과의 혼인은 13%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닛케이는 한류가 양국 남녀 간 문화적 장벽을 허물었다고 평가했다. 2003년 방영된 드라마 ‘겨울연가’ 이후 일본에서 한류에 대한 관심이 커졌으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교류가 확대되면서 자연스럽게 만남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여성의 30~40%가 경제적 이유보다 한국 문화에 대한 동경과 개인적인 삶의 의미를 찾아 자발적으로 한국으로 이주한 것으로 봤다.
한국 여성과 일본 남성 간 혼인 감소는 국제결혼 패턴 변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970~1980년대에는 일본 경제 성장과 농촌 인력 부족 문제로 한국 여성들이 일본으로 이주했지만 최근에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일본 여성들이 한국으로 이주하는 현상이 늘었다.
또한 한국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일본을 넘어서는 등 양국 간 소득 격차가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닛케이는 “한국과 일본 모두 결혼과 출산율 감소라는 공통된 사회 문제를 겪고 있다”며 “결혼을 통한 민간 교류를 지속하려면 양국 간 안정적인 정치·외교 관계 유지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