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 하반기 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와 수도권 주요 지역 등에서 1만 6000가구를 공급한다. 주택공급 부족 우려로 서울 등 일부 지역의 집값 불안 우려가 이어지자 공급에 속도를 내기로 한 것이다.
LH는 수도권 1만 2000가구 등 전국 1만 5994가구 공급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3분기에는 경기도 남양주 왕숙과 과천 주암 등에 7700 가구 분양주택 공급이 이뤄진다. 월별로 살펴보면 이달 남양주 왕숙 지구에 △공공분양 1776가구 △신혼희망타운 401가구 등 총 2177가구가 공급된다. 또 남양주 진접2 지구에 △신혼희망타운 255가구 △공공분양 920가구 등 1175가구, 구리갈매역세권 지구에 신혼희망타운 1182가구 등을 공급한다. 특히 화성 동탄에선 ‘6년 분양전환 공공임대’가 처음으로 들어선다. 이는 6년 동안 거주한 후 자유롭게 분양 여부를 결정하면 되는 방식이다. 분양전환을 희망하지 않을 경우 임대로 4년간 추가 거주할 수 있다. 분양전환가격은 입주 시 감정평가금액과 6년 후 분양 시 감정평가금액의 평균으로 산정하게 된다. 이번에 공급하는 물량은 610가구이다.
8월에는 의정부 우정지구에 공공분양 538가구, 과천 주암 지구에 신혼희망타운 686가구를 각각 공급한다. 9월에는 강원 원주 무실 공공분양 295가구, 남양주 진접 2지구 405가구, 울산태화강변 277가구가 차례로 공급될 예정이다.
4분기는 3분기보다 500가구가량 많은 8259가구 공급이 진행된다. 공공분양 물량은 5533가구이고, 신혼희망타운이 2416가구이다. 또 6년 분양전환 공공임대 물량이 310가구이다. 10월에는 대전 대동2(1130가구), 충북 청주 지북(757가구), 경남 김해 진례(387가구) 등에서 2274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11월에는 경기 군포 대야미와 남양주 왕숙에서 각각 신혼희망타운 1003가구, 393가구 공급이 진행될 예정이다. 연말에는 경기 김포 고촌과 과천 주암 등에서 4090가구가 공급된다.
LH는 수도권 주요 지역에 대한 공급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6·27 대출 규제’로 인해 집값 상승세가 일시적으로 주춤했지만, 여전히 ‘패닉 바잉’ 가능성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서울의 경우 지역별·단지별로 아파트값 혼조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정주 여건이 우수한 단지 중심으로 가격 상승 흐름이 꺾이지 않고 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이에 “선호 입지에 양질의 주택을 신속히 공급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정부는 3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 내 주택공급과 도심고밀개발, 소규모 정비사업 등을 통해 주택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LH 관계자는 이와 관련 “3기 신도시를 포함한 수도권에 약 1만 2000가구를 공급해 수도권 주택 공급을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