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003550)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엑사원을 기반으로 국내 AI 생태계를 구축해 향후 ‘글로벌 톱3’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기존 LG 계열사 위주로 적용됐던 AI 모델을 대거 상용화하고 차세대 정밀 의료와 임직원용·기업용 AI 에이전트 등 상용화 모델 개수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국내 대표 AI 반도체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 등 국내외 주요 파트너사와의 협업 진척 상황도 소개하며 AI 기반 기업간거래(B2B) 사업 모델의 확장 가능성도 제시했다.
LG AI연구원은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AI 모델부터 서비스를 아우른 엑사원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날 처음 공개한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 △엑사원 온프레미스 △엑사원 4.0 VL 등은 엑사원을 기반으로 한 솔루션과 서비스들이다. 그간 LG AI연구원이 모델 성능 입증에 주력해왔다면 이번 발표는 실제 산업 적용 사례 소개와 다양한 사업화 시나리오에 방점이 찍혔다. 이화영 AI사업개발부문장은 “LG의 자체 투자와 국가 지원 등을 통해 기술을 앞서 선도해갈 수 있다면 글로벌 AI ‘톱3’ 국가 안에 대한민국이 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기업 전용 AI를 구축할 때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를 생산하는 ‘AI 공장’ 역할을 하는 플랫폼 기술이다.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작업해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한 명이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도록 돕는다.
LG 계열사와 국책기관 등과 실증사업을 진행한 결과 기존 대비 데이터 생산성은 최소 1000배, 데이터 품질은 평균 20% 이상 향상됐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기업 내부 시스템에 설치해 외부와 연결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AI 솔루션이다. 챗엑사원은 이날부터 기업·공공기관·연구기관을 대상으로 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개발 과정에서 퓨리오사AI와 프렌들리AI·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 등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협력 성과도 강조했다. 퓨리오사AI의 최신 신경망처리장치(NPU) ‘레니게이드’와 엑사원을 더해 엑사원 온프레미스를 구현했다. 동일한 성능의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대비 전력 효율이 3배 높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산 기술로 만든 AI 솔루션으로 엔비디아의 아성에 도전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LSEG와는 투자자들의 의사 결정을 돕는 AI 서비스를 공동 개발해 3분기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협업 성과를 직접 소개한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양사가 GPU 대비 경쟁력을 입증한 NPU 기반 온프레미스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전례를 찾기 힘든 뜻깊은 사례”라고 말했다.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원장은 “세계에서 최신 AI 모델이 쏟아지고 있는 와중에 내재화된 기술 개발을 소홀히 하면 종속의 위기에 직면한다”며 “기술 독립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AI 모델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LG AI연구원은 LG CNS와 LG유플러스 등 계열사와 논의를 통해 다양한 B2B 사업 시나리오도 수립할 계획이다. 이미 수주 금액이 1000억 원을 넘어섰고 엑사원 패스를 중심으로 바이오 영역에서도 신사업이 논의되고 있다.
이홍락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AI가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실제 환경을 바꾸는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우선 로봇이나 공장 장비, 제조에 도움이 되는 피지컬 AI를 고려하고 있으며 계열사와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LG AI연구원은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독자적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한 바 있다. 이 부문장은 “GPU를 비롯한 인프라와 데이터 관련 규제 혁파 등 두 가지를 국가에서 지원해준다면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인프라가 갖춰져야 국내 기업들이 마음껏 AI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만들고 사업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