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채용보다 인공지능(AI) 쓰겠습니까?"
국내 기업 임원 3명 중 1명은 인력 채용을 인공지능(AI)으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글로벌 HR 플랫폼 딜이 명함 앱 '리멤버'와 함께 지난 6월 11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기업 임원급 인사 24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2.5%는 AI가 더 높은 효율성을 입증할 경우 인력을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56.7%는 '추이를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AI가 채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응답은 절반 가까이(47%) 달했다. 특히 AI 도입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직무는 개발·엔지니어링(35%), 고객 지원(21%), 회계·법무 등 백오피스(18%)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7%는 "AI가 코딩 작업을 지원하면서 개발자 수요가 줄고 있다"고 답했다.
AI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직군으로는 신입 지원자(75%)가 꼽혔다. 이어 중간 관리직(22%)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AI로 인한 직접적인 인력 감축은 아직 제한적이다. 지난 1년간 실제 인력 감축을 경험했다고 답한 임원은 6%에 불과했으며, 74%는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다. 대신 재교육이나 직무 전환을 경험했다는 응답은 20%로 집계됐다.
AI 활용이 확대되더라도 인적 관리의 필요성은 여전히 높게 인식됐다. 응답자의 98%는 'AI 활용에도 인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AI가 대체할 수 없는 역량으로 판단력(31%)과 창의성(28%)을 꼽았다. 또한 HR·조직 관리(29%), 기업 간 거래(B2B) 영업(26%), 컴플라이언스 및 대외협력(19%), 마케팅(18%) 등은 인간 중심의 인사이트와 네트워크가 필수적인 영역으로 평가됐다.
박준형 딜 코리아 기업 고객 영업이사는 "AI가 채용 방식을 재편하고 있지만, 한국 경영진은 인간 중심의 실용적 접근을 택하고 있다"며 "효율성은 AI로 높일 수 있어도 판단력·창의성·관계 구축은 대체 불가한 가치"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