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로 동네 슈퍼마켓 10곳 중 9곳의 매출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3일 한국수퍼마켓협동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연합회 산하 동네수퍼마켓 119개 점포 대상 설문조사 결과 소비쿠폰 사용이 집중된 지난달 21일부터 27일까지 매출이 직전주(14~20일) 대비 증가했다는 매장이 90.8%로 집계됐다. 매출 5% 미만 증가가 28.6%, 5% 이상 증가가 62.2%였다.
연합회는 탄핵정국과 고물가 여파로 위축된 소비심리 회복에 소비쿠폰이 골목상권의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가 소비쿠폰으로 구매한 주요 품목은 생필품(세제·휴지 등)으로 66.4% 에 달했다. 이어 음료·주류 30.3%, 가공식품 27.7%, 신선식품(채소·육류 등) 18.5% 순이었다.
소비쿠폰 제도 개선을 위해 바라는 점(이상 복수응답)은 정기적 지급 제도화 39.5%, 사용처 확대(소상공인 위주) 38.7%, 예산 증액 36.1% 등으로 파악됐다.
응답자의 99.2%는 향후 같은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된다면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내달 소비쿠폰 2차 지급 시기에 맞춰 열리는 ‘대한민국 동행세일전’과 병행해 ‘9월 공동세일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15개 조합, 300개 점포가 참여할 예정이다.
할인 판매도 진행한다. 대표 식품과 생필품 할인율은 △ 간장 29% △ 쌈장 23% △ 고추장 9% △ 식용유 25% △ 즉석 카레 20.5% △ 즉석밥 18.4% △ 라면 13.2% △ 음료 28% △ 설탕 21% △ 세탁세제 27.5% △ 주방세제 18.5% 등이다.
송유경 연합회장은 "단기 지원에 그치지 않고, 소비쿠폰을 연계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이 지속돼야 한다"며 "소비 진작 효과가 확실히 입증된 만큼 향후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