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북극항로 개척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 해양산업 환경 변화에 맞춰 동남권을 해양경제권의 전략 거점으로 키운다.
부산진해경자청은 12일 경남연구원에서 열린 ‘북극항로 진출거점 육성을 위한 경남 대응 방안 세미나’에 참석해 물류·산업·제도 전반의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세미나에는 박명균 경상남도 행정부지사, 박동철 경남도의회 의원, 오동호 경남연구원 원장, 김기태 영산대 교수 등 해운·물류 전문가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북극항로가 기후위기와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할 친환경·고효율 물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단순한 항로 개척을 넘어 산업구조와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해수부 부산 이전이 해양 중심 정책 실행력을 높일 계기라는 점도 강조됐다. 수도권 중심의 정책 구조를 넘어 산업과 현장이 맞닿은 부산·진해 권역이 전략 추진의 플랫폼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성호 부산진해경자청장은 “북극항로는 단지 빠른 길이 아니라 미래 산업의 중심”이라며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에너지·자원 물류, 극지 특화 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수용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부산진해경자청은 9월 중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북극항로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물류 거점화, 극지 특화산업 육성, 디지털 인프라 확충 등 과제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