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체관광객이 오는 9월 29일부터 내년 6월까지 무비자로 한국을 드나들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 줄었던 외국인 관광객이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정부는 이번 조치로 중국발 관광 수요를 대규모로 끌어들이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결정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광 활성화 미니 정책 TF’ 회의에서 확정됐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주재한 회의에서 관광 규제 완화와 외국인 유치 확대가 주요 안건으로 논의됐으며, 중국 단체관광객 비자 면제가 핵심에 포함됐다.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10월 1~7일)에 맞춰 제도를 시작해, 연휴 기간 대규모 방한 수요를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중국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한국인 무비자 입국을 허용 중이어서, 이번 결정은 ‘상호 호혜’ 성격이 강하다.
정부는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MICE(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행사 참가자 입국 심사 기준을 기존 500명 이상에서 300명 이상으로 완화하고, 패스트트랙 제도를 내년부터 정식 운영한다. 외국인 환자 유치 의료기관 평가 기준도 개편해 최근 1년간 500건 이상 외국인 환자를 유치한 기관은 ‘의료관광 우수기관’으로 인정한다.
관련기사
관광업계는 벌써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외래 관광객은 883만 명으로 역대 반기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인 관광객은 253만 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은행은 “중국 단체관광객 100만 명이 더 오면 국내 GDP가 0.08%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호텔·면세점 업계도 발 빠르게 대응 중이다. 호텔신라는 글로벌 멤버십 ‘신라리워즈’ 중국 본토 회원이 전년 대비 230% 이상 늘었고, 신세계면세점은 중국 유통 대기업과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여행 플랫폼 올마이투어는 중국 OTA 퉁청여행과 손잡고 프리미엄 숙박 상품 실시간 판매에 나섰다.
다만 개선 과제도 있다. 현재 단체관광객은 입국 5일 전까지 명단을 제출해야 해 여행사 실무 부담이 크다. 업계는 출국 1~2일 전 제출로 완화해야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한다.
중국 정부도 환영했다.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SNS에 “한국의 무비자 조치는 중국 국민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라며 양국 인적 교류와 신뢰 강화에 기대를 표했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발판 삼아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K관광 세계화’의 기회로 삼을 방침이다. 김민석 총리는 “정상회의를 외국인 관광객 확대의 기회로 활용하라”고 지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