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TV 등 생활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솔루션(MS) 사업본부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이는 2022년, 2023년 이후 2년 만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MS 사업본부 소속 만 50세 이상이거나 수년간 성과가 낮은 구성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희망퇴직 신청자에게는 근속기간 및 정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최대 3년 치 연봉에 해당하는 위로금과 함께 자녀 학자금이 지원된다.
LG전자는 '젊고 힘 있는 조직'을 모토로 조직 내 인력 선순환을 위해 희망퇴직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만 50세 이상 퇴직을 앞둔 구성원에게 창업 및 기술교육을 제공하는 제2 인생설계 프로그램 '브라보마이라이프' 제도도 매년 시행 중이다.
MS 사업본부 이외의 사업부에서도 희망퇴직 신청을 받을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MS 사업본부를 대상으로 한 희망퇴직은 다음 달 중 진행될 예정이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올 2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한 영향으로 인력 감축이 단행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LG전자는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6% 감소한 6394억원에 그쳤다. 특히 희망퇴직 대상인 MS 사업본부는 이 기간 영업손실 191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1268억 영업이익) 대비 적자 전환했다. 사업부 중 유일한 적자다.
이는 미국 관세 부과와 물류비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한 데다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시장 경쟁이 심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LG전자가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TV의 평균 판매가는 연평균 대비 2.5% 하락했다. 모니터와 사이니지 평균 판매가격도 이 기간 각각 1.8%, 3.6%씩 하락했다.
2020년 2위였던 글로벌 TV 시장 순위도 4위로 내려앉았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출하량 기준 LG전자의 점유율은 10.7%로, 삼성전자(19.2%), TCL(13.7%), 하이센스(11.9%)에 이은 4위에 그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