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격차 등의 이유로 부산 기업들이 연구개발(R&D)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일 부산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부산지역 제조기업의 연구개발인력 미스매치 현황’에 따르면 지역 제조기업 200곳 중 절반 이상(53.5%)은 현재 연구개발 인력 수급을 ‘적정’하다고 평가했으나 향후 R&D 예산 확대와 산업 경기 회복 시 인력 부족이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채용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우수 인력 확보(49.5%)였다. 이어 높은 인건비 부담(22.2%), 조기퇴사(14.5%)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 조사에서 지역 기업 90%가 연구개발 인력 초임을 4000만 원 미만으로 책정하고 있는 반면 지역 이공계 대학생 31%는 4000만 원 이상을 희망하고 있어 임금 격차가 채용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기업은 실무 경험과 전공·교육훈련을 중시하는 반면 대학생들은 임금과 워라밸(근무시간 준수) 등 근무 조건을 우선시해 채용 과정에서 인식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연구개발인력난을 해소하고자 기업들은 연구개발 우수인력 공급, 연구개발 인건비 지원 강화, 산학협력과제 확대 지원, 지역 우수인재 유출 방지책 강화 등을 주문했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중소·중견기업들의 R&D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특히 임금 격차 해소와 채용 연계 산학협력 확대를 통해 지역 우수 인재가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