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도약을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부산시는 20일 지역 혁신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진위 출범은 ‘동북아 해양수도 비전’ 선포 25주년과 부산항 개항 150주년을 맞아,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과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추진됐다.
추진위는 부산이 글로벌 해양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 의제를 발굴하고 주요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이를 위해 지역 산업계, 해양 클러스터 연구기관, 해양금융, 대학, 언론, 시민단체 등 60여 개 기관·단체가 참여한다. 또한 분야별 분과위원회와 운영위원회·정책협의회를 구성해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간다.
특히 추진위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해양 싱크탱크 정책협력 네트워크’와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TF)’ 운영 경험을 토대로, 산·학·연·민·관을 아우르는 거버넌스의 사령탑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오는 8월 말 시가 발표할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비전과 전략’을 구체화하고 주요 정책에 대한 대정부 건의도 추진할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이 해운·항만·물류 중심지를 넘어 해양신산업, 해양과학기술, 해양금융, 국제협력, 문화·관광을 포괄하는 글로벌 해양경제 주도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의 해양 혁신역량을 결집하겠다”며 “대한민국이 진정한 해양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