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0년 이후 처음으로 7억 톤 아래로 떨어졌다.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원자력발전 및 풍력·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로 대체한 것이 주효했다.
20일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9158만 톤으로 집계됐다. 이번 수치는 잠정치로 향후 발표될 확정 배출량과의 오차는 0.3% 내외에 불과하다. 2023년의 배출량 수치 7억 500만 톤과 비교하면 2%가량 줄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7억 톤 이하를 기록한 것은 2010년 6억 8980만 톤을 기록한 후 14년 만이다. 또 2011년의 배출량 7억 2160만 톤과 비교하면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이에 따라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로드맵의 2024년 배출량 목표치도 달성했다.
발전 부문에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컸다. 지난해 국내 전기 사용량은 595.6테라와트시(TWh)로 전년(588.0TWh) 대비 1.3% 늘었다. 제조업에 특화된 국내 산업구조상 전기 사용량은 국내총생산(GDP)과 어느 정도 정비례하는 관계다. 반면 발전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 1830만 톤으로 전년의 2억 3090만 톤 대비 5.4% 감소했다.
이는 전기 생산시 온실가스를 다수 배출하는 석탄보다 사실상 탄소 배출이 ‘0’에 가까운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많이 썼기 때문이다. 실제 관련 수치에서 석탄 발전량은 184.9TWh에서 167.2TWh로 줄었다. 반면 원자력 발전량은 180.5TWh에서 188.8TWh로,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9.4TWh에서 53.7TWh로 각각 늘었다.
이 같은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2030 NDC 달성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문재인 정부 당시 발표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는 4억 3660만 톤으로 향후 5년간 2억 톤 이상을 줄여야 한다.
반면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큰 전기차 보급이 충전의 어려움과 가격 문제 등으로 예상치를 하회하고 있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날씨나 시간대에 따라 들쑥날쑥한 발전량으로 안정적 전력공급원으로서의 한계가 명확해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빠르게 낮추기 쉽지 않은 구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