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0~30%대 수익률을 내고 있는 주주가치 테마 상장지수펀드(ETF)의 상승 탄력이 한풀 꺾였다. 중소형주 비중이 큰 상품은 낙폭이 두드러지며 상반기와 달리 주춤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4일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1개월간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와 ‘ACE라이프자산주주가치액티브’에서 약 57억 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이들을 포함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중 지배구조 테마의 6개 ETF 상품으로 범위를 넓히면 총합 116억 원의 자금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초 이후 해당 테마에 751억 원이 몰렸지만 최근 유입세는 눈에 띄게 약화됐다.
수익률 측면에서도 정체 양상이 뚜렷하다. 6개 상품의 올해 평균 수익률은 33.67%에 이르지만 최근 1개월은 0.74%에 그쳤다. 금융지주·반도체 등 실적과 현금 흐름이 뒷받침되는 대형주 중심의 상품들은 비교적 방어력을 보인 반면 주주 환원 기대감에 테마로 묶였던 중소형주 중심 ETF의 변동성은 두드러졌다. 향후 배당금 증가 가능성 등 미래 성장성을 중점으로 둬 중견기업의 편입 비중이 높은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는 유일하게 한 달 수익률이 마이너스(-1.21%)로 돌아섰다.
이는 올 6월 새 정부 출범 이후 강력한 주주 환원 정책 드라이브로 형성됐던 기대감이 사그라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주주 환원 이슈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박스권에 갇힌 증시 영향으로 성과 개선이 제약을 받고 있다.
다만 단순 배당을 넘어 자사주 매입·소각 등 실질적 조치 강화가 ETF 상품 흐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더 센 상법’ 패키지의 향배가 변수로 꼽힌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