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에 입점한 후 소상공인에서 중소기업으로 발돋움한 중소 기업이 최근 5년간 1만 개를 넘어섰다.
쿠팡 관계자는 7일 “쿠팡 입점 시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이었지만, 전국 쿠세권과 2390만 명에 육박하는 활성고객을 보유한 쿠팡을 발판삼아 소상공인을 졸업한 기업이 1만 개를 넘어섰다”며 “쿠팡이 소상공인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핵심 유통채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누적 소상공인 졸업업체는 누적 1만 개를 기록했다. 이는 로켓배송과 로켓프레시와 로켓그로스, 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한 소상공인 가운데 한 해 연 매출 30억 원을 돌파한 곳을 5년 누적으로 합한 숫자다. 2020년 소상공인 졸업업체는 1360여 곳에서 2022년 1900여 곳으로 늘었고, 2023년부터 매년 2000여개 이상 업체들이 연 매출 30억 원을 달성했다. 연 매출 30억원 이상 소상공인들의 연간 거래액도 2022년 대비 지난해 65% 성장했다.
이는 내수 침체가 가속화되고, 소상공인 성장세가 쪼그라드는 국내 현실과 대조적이라는 설명이다. 한국신용데이터 ‘소상공인 데이터 랩’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소상공인의 분기별 합산 연 평균 매출은 1억 7958만 원으로 전년 대비 6% 감소했다. 국내 소상공인들의 성장률이 뒷걸음칠 때, 쿠팡과 손을 잡은 소상공인 2000여곳은 같은 기간 거래액이 연 30% 가량 성장했다.
특히 인구감소와 생산성 위기에 직면한 지역에서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연 매출 30억원을 뛰어넘은 업체 10곳 중 7곳 이상이 비서울 지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거래액 기준으론 비서울 지역 업체 비중은 80%에 육박한다. 경상도·전라도·충청도·강원도 등 지역 업체들이 쿠팡을 통해 식품과 뷰티, 가전 생활용품 등 여러 분야에서 지역 특산품을 포함해 다양한 상품을 전국적으로 판매했다는 설명이다.
대표적으로 버터 제조사 ‘슈퍼너츠’는 2023년 연매출 30억 원을 돌파하며 중소기업의 벽을 뛰어 넘었다. 브랜드 론칭 초기부터 쿠팡에 입점해 거래해온 슈퍼너츠는 전체 매출의 40~50%가 쿠팡에서 발생한다. 원한별 슈퍼너츠 대표는 “지난해에는 쿠팡에서만 약 6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며 “100% 땅콩만을 사용한 피넛버터의 품질과 쿠팡의 노출도가 충성 고객을 쌓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쿠팡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감소하는 어려운 시기에도 쿠팡은 안정적 성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유관 기관 및 지자체와 협업을 확대해 소상공인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