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은 국내에서 유학·연구 중인 외국인 이공계 연구인력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해외연구인력 전주기 정착지원사업’을 9월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와 연구개발 인력 부족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기반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이다. 특히 첨단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인재 유치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국내 이공계 외국인 석·박사 인력은 전체의 10%를 차지하며 중요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언어와 R&D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 생활 적응의 어려움, 낮은 국내 정착 비율은 이들이 국내에서 독립적인 연구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여전히 극복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이에 KIRD는 외국인 이공계 대학원생과 연구자가 한국에 조기 적응해 안정적으로 연구자로 자리매김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생활적응에서부터 연구와 경력개발, 취업을 아우르는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KIRD는 외국인 연구자가 한국에서 겪는 비자, 주거, 의료, 세금, 법률, 자녀교육 등 생활상의 어려움을 신속히 해결해 본연의 연구와 학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정착지원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운영한다.
이를 위해 △생활 전반의 필수 정보를 담은 ‘생활 가이드북’ △지역사회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현장 버디 프로그램’ △전문적 해법을 제공하는 분야별 전문가 컨설팅을 온·오프라인으로 지원한다.
또한 그간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 등 대상으로 축적한 경력개발 지원 노하우를 토대로 외국인 연구자가 국내 연구환경에 맞춰 경력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단계별 지원을 제공한다.
석·박사 과정 대학원생 대상으로 △이공계 경력탐색 △취업역량 강화 △국내 R&D 제도 이해 및 모의 연구기획 △연구현장 인턴십 등을 통해 연구 역량 강화 뿐만 아니라 취업을 지원하며,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서 활동 중인 박사후연구원, 교원을 대상으로 △국내 R&D시스템 이해도 제고 △연구 네트워킹 △리더십 교육 등 제공하여 독립 연구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나아가 중장기적으로 정주와 연구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생활과 경력개발, 일자리 정보를 종합 제공하고, 외국인 연구자 실태조사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정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한다.
사업 첫해인 올해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4대 과기원), UST, IBS 등 중심으로 운영하며 2026년부터는 전국 대학과 연구기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KIRD 배태민 원장은 “우수한 외국인 연구자의 국내 정착은 개별 연구자 차원을 넘어,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재 기반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라며 “외국인 연구자가 한국을 장기 정착하여 연구경력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의 나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