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기업 내 모든 업무에 인공지능(AI) 비서를 도입하는 ‘인공지능(AI) 풀스택(전방위 개발)’ 사업을 펼친다. 차세대 AI 에이전트를 개발해 기업의 업무 전 영역을 지원하는 맞춤형 솔루션을 공급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준희 삼성 SDS 대표는 1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정보기술(IT) 행사 ‘리얼 서밋 2025’ 기조연설자로 나서 “AI 에이전트가 업무에 적용되면 상상에서 가능했던 일이 현실이 된다”며 “삼성SDS는 기업의 AI 전환을 돕는 최적의 파트너”라고 자신했다. 이어 “최근 글로벌 업무통합시스템(ERP) 기업 SAP로부터 한국 기업 최초로 최상위 전략 파트너 인증을 받았다”며 “삼성SDS가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구축한 AI 시스템은 기업의 업무환경을 혁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이 대표는 삼성SDS의 AI 풀스택 전략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AI 풀스택이란 AI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모든 기술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삼성SDS의 AI 풀스택 전략은 화상회의 지원, 일정 관리, 정보 검색 등 다방면의 기업 업무를 지원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삼성SDS는 패브릭스, 브리티 코파일럿, 브리티 오토메이션 등 각기 다른 목적으로 활용하는 AI 제품군을 갖춘 상태다. 이 제품들을 모두 사용하면 기업 내 모든 업무에 AI 에이전트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삼성 SDS의 제품이 활용된 사례도 소개됐다. 원익그룹은 올해 1분기부터 브리티코파일럿을 도입한 후 해외 거래처와 화상회의 할 때 동시통역사를 고용하지 않게 됐다. 브리티코파일럿 안에 AI가 7개 언어를 동시에 통역하는 서비스가 있기 때문이다. KB금융그룹은 패브릭스를 활용해 자산가 관리·기업금융·일반 업무용 등 3가지 AI 에이전트를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원익그룹이 직관적인 AI 기능을 활용한 경우라면 KB금융은 내부 사정에 맞게 AI 시스템을 재가공한 사례다.
앞으로 삼성SDS는 제품 내 작동되는 AI 성능 향상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호준 삼성SDS 부사장은 “모델맥락프로토콜(MCP)과 에이전트 투 에이전트(A2A) 기술을 바탕으로 사람 개입 없이도 AI 에이전트들이 자체적으로 협업하는 솔루션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삼성SDS는 정부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공모를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기조연설 후 기자들과 만나 “현재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참여 여부를 검토하는 중”이라며 “정부 프로젝트에 삼성SDS가 기여할 부분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