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에서 고립된 70대 외국인을 구조하다 숨진 해양경찰관의 사고를 내부에서 은폐 시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러한 의혹은 사고를 당한 경찰관의 동료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폭로했다.
인천해양경찰서 영흥파출소 소속 고(故) 이재석(34) 경사와 함께 사고 당시 당직 근무를 섰던 팀 동료 4명은 15일 인천 동구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파출소장이 부하 직원들에게 유족을 보면 눈물을 흘리고 아무 말 하지 말고 조용히 있어 달라고 했다”라고 주장했다.
파출소장이 처음 함구를 지시한 시점을 “실종된 이 경사가 구조된 뒤 응급실 이송할 때”라며 “파출소장이 영흥파출소로 사용하는 컨테이너 뒤로 저희 팀원과 수색으로 비상 소집된 다른 팀원들을 불러 서장 지시사항이라는 내용을 들었다”라고 전했다.
이들은 “추후 조사 과정에서 모든 것을 밝히려고 마음먹었으나 어제 유족들과 면담에서 왜곡된 사실을 바로 잡고 진실을 밝히기로 마음먹었다”라고 말했다.
또 이들은 담당 팀장이 신속한 대응을 하지 않아 구조가 지연됐다고 주장했다.
팀원들은 “팀장은 휴게시간을 마치고 컨테이너로 복귀했는데도 이 경사의 상황을 전혀 공유하지 않았다”라며 “몇 분 뒤 드론업체로부터 신고를 받고 심각함을 인지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해양경찰청은 “그동안 유족에게 폐쇄회로(CC)TV, 무전녹취록, 드론 영상 등 현시점에서 가능한 관련 자료 일체를 제공했다”며 “인천해경서장과 파출소장이 내부 진실을 은폐하려고 했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됐으나 서장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라고 해명했다.
인천해경서장 역시 별도 입장문을 내고 “진실 은폐는 전혀 없었다”라며 “진상조사단 등의 조사에 적극 협력하고 모든 실체를 규명하겠다”라고 알렸다.
한편, 이 경사는 지난 11일 오전 3시께 발을 다친 70대 갯벌 고립자에게 자신의 외근 부력 조끼를 벗어서 입혀준 뒤 같이 헤엄쳐 나오다가 이 같은 사고를 당했다. 발견 당시 이 경사는 심정지 상태였고 119구급대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