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계와 자영업자 취약차주가 늘어나면서 이들의 연체 진입률과 연체 지속률이 동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실이 확대·장기화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가계 취약차주의 연체율은 2분기 기준 10.48%로 1분기(10.9%)에 이어 10%대 흐름을 이어갔다. 자영업자 취약차주의 연체율 역시 11.34%를 기록하며 지난해 3분기 이후 11~12%대의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신규로 연체에 진입하는 비율(연체진입률)과 연체 상태가 장기화되는 비율(연체지속률)도 동반 상승했다. 2021년 약 2.5% 수준이던 가계 및 자영업자 취약차주의 연체진입률은 올해 2분기 말 각각 3.90%와 4.42%로 뛰었다. 가계 차주의 연체지속률은 74.9%로 과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자영업자의 경우 전체 차주가 77.4%, 취약차주는 79.4%로 올라서 부실 장기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취약차주 연체율이 두 자릿수에서 고착화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자영업자의 경우 경기 회복 지연 속에 부실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더욱이 취약차주의 대출은 비은행권 비중이 높아 가계 취약차주는 60.5%, 자영업자 취약차주는 53.9%에 달한다. 이 같은 구조적 특성 때문에 부실이 여러 비은행권으로 빠르게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령별로도 양상이 다르다. 가계 취약차주 가운데 20~30대 대출 비중은 22.2%로 70세 이상(9.8%)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반면 자영업자는 은퇴 후 창업이 많은 특성상 70세 이상 취약차주 대출 비중이 28.7%에 달했으며 20~30대는 8.7%에 그쳤다. 한은은 “비은행권은 자본비율 등 복원력이 대체로 양호하지만 취약차주 부실은 여러 금융기관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 선제적 신용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자영업자의 소득 회복을 지원하는 한편, 맞춤형 채무조정·이자부담 완화를 통해 상환 능력을 높이는 정책적 보완도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정부가 최근 추경을 통해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새출발기금 확대 등은 자영업자의 소득 보완과 연체 완화에 기여해 채무 부담을 낮추는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