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LG전자, LG AI연구원과 공동으로 한국형 차세대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케이펙스(KAPEX)’를 개발해 11월 공개한다고 1일 밝혔다. LG AI연구원의 AI 모델 ‘엑사원’을 탑재해 글로벌 피지컬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KAPEX는 KIST AI·로봇연구소의 AI 휴머노이드 원천 기술에 LG전자의 제품화·양산 역량과 글로벌 사업 경험, LG AI연구원의 ‘엑사원 비전언어(VL)’ 모델 기반의 로봇 브레인 기술을 탑재했다. 인간 수준의 신체 능력과 사람 손처럼 섬세한 촉각 센싱 다지 로봇핸드, 강화학습·VLM 기반 증강형 AI 학습 능력, 복합 환경 인지와 자율 보행 기술을 자랑한다. 이번 협력은 초대형 기술이전을 시작으로 AI 기술 접목, 글로벌 확장형 협력 생태계로 이어지며 향후 4년 내 산업 현장 실증과 상용화 착수를 목표로 한다.
기존 휴머노이드가 단순히 인간의 동작을 따라 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KAPEX는 스스로 학습하고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정밀한 조작과 사람과의 협업까지 수행할 수 있다. 쉽게 말해 KAPEX는 단순히 움직이는 로봇이 아닌 경험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지능형 동반자’다. KAPEX는 인간과 동등한 수준의 운동·조작 능력을 갖추어 가정 및 산업 현장에서 사람과 동일한 수준의 작업 수행을 목표로 한다. 고출력 전신 액추에이터 등 주요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해 탑재함으로써 한국형 휴머노이드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세계 시장 진출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피지컬 AI는 인공지능이 물리적 환경에서 직접 학습·적응함으로써 실제 공간에서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가정, 물류, 제조, 의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로봇이 사람과 자연스럽게 협력하게 만드는 핵심 기반이다. 휴머노이드 플랫폼은 피지컬 AI 구현의 필수 무대다. 로봇이 인간의 몸처럼 팔과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이고 손으로 도구를 다루며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활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이 플랫폼은 사실상 미국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KAPEX는 우리나라가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기술 해법을 제시하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종원 KIST 휴머노이드연구단장은 “KAPEX는 한국형 AI 로봇이 미·중 중심의 시장 질서에 도전하는 실질적 대안이자 새로운 글로벌 표준이 될 것”이라며, “실증과 상용화를 통해 한국이 로봇 산업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