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에서 한강대교까지 이어지는 한강대로 일대의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이 6개 구역으로 분할된다. 용산 일대의 도시관리계획을 정한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은 1995년 첫 구역 지정 이래 면적 330~350만㎡ 규모로 관리돼 온 서울 최대 규모의 지구단위계획구역이다.
서울시는 전날 개최된 제18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변경안이 수정 가결됐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시는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이 그동안 지나치게 큰 규모로 인해 여건 변화를 반영한 계획 정비에 장기간이 소요돼 주민 불편을 유발했다고 판단해 분할을 결정했다.
△서울역 일대(71만㎡) △남영역 일대(36만㎡) △삼각지역 일대(73만㎡) △한강로 동측(40만㎡) △용산역 일대(105만㎡) △용산전자상가(12만㎡)의 6개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분할된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지역별 특성과 주민 요구에 맞는 효율적 운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역 일대는 국제 관문 위상에 대응하는 공간으로 개조하고 남산으로의 보행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남영역 일대는 서울도심~용산을 연계하는 한강대로 업무축으로 육성한다. 삼각지역 일대는 용산공원 연접 및 중저층 지역 특성을 고려한 도시 정비를 유도하고, 한강로 동측은 용산역 일대, 용산공원과 연계된 주거·업무·녹지 공간을 조성한다. 용산역 일대는 국제 업무 기능을 기반으로 서울의 미래 성장을 견인하는 용산의 새 중심지를 조성하고, 용산전자상가는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등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한다.
대규모 개발 등을 고려해 지정한 특별계획구역은 59곳에서 68곳으로 변경할 계획이다. 용산전자상가 일대 등 총 9개의 특별계획구역을 신규 지정해 전략적 개발을 유도한다.
용산전자상가 일대는 총 11개 특별계획구역이 지정돼 AI 등 신산업 혁신 거점 조성이 추진된다. 현재 11개 특별계획구역 중 8개 구역이 세부개발계획 수립 등 개발사업이 추진 중이다.
용산우체국 주변 등 2개 특별계획구역은 주민 의사를 고려해 구역을 해제하고 개별 필지별 건축을 허용할 예정이다. ‘용리단길’로 활성화된 용산우체국 주변은 옛 가로 조직을 보존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중·소규모 건축을 유도할 계획이다.
광화문~서울역~용산~한강을 잇는 국가상징거리로 계획 중인 한강대로 일대는 건물 최고 높이를 100m에서 120m로 완화하고 사업계획 및 지역특성에 따라 추가 높이 완화를 부여할 계획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계획 결정으로 국가 상징 거점인 용산 광역중심 일대가 미래 신도심으로 위상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효율적 구역 재편을 통해 향후 도시 행정이 신속하게 처리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ocoo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