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후인 2030년에는 국내 10대 수출 주력 업종의 경쟁력이 전 부문에서 중국에 뒤처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내 기업들은 이미 기업 경쟁력이 중국에 추월당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우려했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10대 수출 주력 업종 매출액 1000대 기업 200개사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올해 기준 국내 기업 경쟁력을 100으로 볼 때 미국(107.2)과 중국(102.2)은 한국을 앞선 상황이고 일본(93.5)은 우리보다 6.5포인트 낮았다. 5년 뒤인 2030년에는 미국(112.9)과 중국(112.3)의 기업 경쟁력이 대등한 수준으로 높아져 한국과의 격차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95)의 기업 경쟁력은 여전히 우리보다 뒤처질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 보면 올해 중국은 5개 부문에서 한국보다 우위에 있다. 한국을 100으로 할 때 철강(112.7), 일반기계(108.5), 2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순으로 높았다. 2030년에는 10대 주력 업종 모두 중국이 한국을 앞설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이 근소한 우위를 보이는 반도체(99.3)와 전기·전자(99), 선박(96.7), 석유화학(96.5), 바이오헬스(89.2)마저 5년 뒤에는 역전되는 셈이다.
경쟁 부문별 격차는 더 심각하다. 올해 중국은 가격경쟁력(130.7)과 생산성(120.8), 정부 지원(112.6) 등에서 한국을 압도했다. 한국이 유일하게 앞선 상품 브랜드마저 2030년에는 106.5로 중국이 추월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상품 브랜드(132), 전문인력(126.2), 핵심 기술(124) 등 전 분야에서 한국을 앞서고 있다. 한경협 관계자는 “2030년에는 한미 간 기업 경쟁력 격차가 생산성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더 확대될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 애로 요인으로 국내 제품 경쟁력 약화(21.9%)와 대외 리스크 증가(20.4%)를 꼽았다. 정책 과제로는 대외 리스크 최소화(28.7%)와 핵심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18%), 규제 완화 등 경제 효율성 제고(17.2%) 등을 요청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gap@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