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월급쟁이 일자리가 11만 1000개 늘어나는 데 그치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역대 최소 증가폭을 보였던 1분기 ‘쇼크’에서는 벗어났지만 건설업과 제조업의 동반 부진이 이어지며 전체 증가세를 제약했다.
국가데이터처가 18일 내놓은 ‘2025년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2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95만개로 전년 대비 11만 1000개 늘었다. 증가폭은 2018년 통계 작성을 시작 한 이후 역대 최소였던 지난 1분기(1만 5000개)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2022년 1분기(75만2000개) 이후 12분기째 이어졌던 감소 추세를 끊어냈지만 회복세는 여전히 미약하다는 게 데이터처의 설명이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과 제조업의 부진이 계속됐다. 건설업 일자리는 14만 1000개 줄며 7분기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도 1만 3000개 줄어 2분기째 줄었다. 정보통신업(-1만2000개)과 부동산업(-4000개)도 감소했다.
보건·사회복지업(13만 4000개)을 비롯해 협회·수리·개인서비스업(3만개), 전문과학·기술업(2만 8000개), 운수·창고업(2만 3000개) 등에선 일자리가 늘었다. 숙박·음식업도 1만 2000개 증가했고, 도소매업은 5000개 늘었다.
연령별로는 사회 초년생인 20대 이하와 경제활동의 중심 축인 40대에서 크게 줄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13만 5000개, 40대는 8만개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23만 5000개), 30대(7만 6000개). 50대(1만 5000개)에서는 늘었다.
20대 이하에선 제조업(-2만2000개), 정보통신업(-2만1000만개), 건설업(-2만1000개) 등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60대 이상은 보건·사회복지(9만4000개), 사업·임대(2만7000개), 제조업(2만7000개) 등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었다.
전체 일자리 중에서 1년 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530만 8000개(73.4%)였다. 사업 축소 등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220만 9000개였다.
최재혁 데이터처 행정통계과장은 “역대 최소 증가폭을 보인 지난 1분기를 제외하면 2022년 1분기 이후 일자리 증가폭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며 “추경과 소비 쿠폰 등 내수 진작 효과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3분기 통계에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ngagh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