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포춘US]중국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

중국은 보호주의와 정부 보조금, 독점을 통해 인공지능(AI)에서 우위를 점하려 하고 있다. 하지만 성공할 것이란 보장은 없다. By Clay Chandler

이젠 명탐정 셜록 홈즈가 필요 없는 시대가 도래했다. 중국 형사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범죄자들을 잡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믿을 수 없다면, 팝 콘서트 현장에서 A.I.를 이용해 감자 도둑을 잡은 사건을 떠올려보라.

지난 5월 중국 동부지역 도시 자싱 Jiaxing의 공안은 A.I.의 얼굴인식기술을 이용, 홍콩 가수 재키 청 Jacky Cheung(성룡)의 공연을 보러 온 2만 명 이상의 관객 가운데 감자 도둑을 체포했다. 콘서트 보안 시스템을 통과한 직후, 전혀 의심을 받지 않았던 한 사람이 검거됐다: 알고리즘 기술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상수배범‘의 머그샷과 일치하는 사진을 찾아낸 것이었다. 공안 당국은 1만 7,000달러 어치의 감자를 훔친 혐의로 그 범인을 체포했다.

이 절도범은 재키 청의 콘서트 현장에서 검거된 3번째 수배자였다. 베이징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안면인식 기업 메그비 Megvii의 소프트웨어를 수 개월간 사용한 덕분이었다. 이 회사는 A.I.와 얼굴인식 기술을 융합하려는 많은 선두 중국 기업들 중 한 곳이다. 알리바바 그룹의 모바일 결제 자회사 앤트 파이낸셜 Ant Financial은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KFC 매장에 ‘미소 한번으로 결제(smile to pay)’기능을 선보였다. 항저우의 한 고등학교는 안면인식 기술을 통해 수업중 학생들의 집중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선전과 몇몇 다른 도시들의 교통경찰은 무단횡단자와 난폭하게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감시하고 있다. 베이징의 천단사원(Temple of Heaven) 인근 공원에선 공중 화장실 사용자들이 휴지를 훔쳐가는 것을 막기 위해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작년 8월 중국 난징 지역 교차로에서 무단횡단하는 여성의 얼굴이 안면인식 시스템 기능을 갖춘 스크린에 비쳐지고 있다. 출처: 포춘US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A.I.에 각별히 열정을 쏟고 있음을 시사하는 사례들이다. 시진핑 주석은 자국 A.I.산업 규모를 1,500억 달러까지 키워 중국이 2030년에 세계 제일의 인공지능 강국이 될 것이라 선언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전 세계는 중국의 A.I. 야망을 경계해야 할까? 아니다. 미국 관리든 중국 전문 분석가든, 중국의 노력을 평가하며 공통적으로 전망하는 점이 있다. 해당 프로그램이 홍보한 대로 진행될 것이라는 점이다. 실제 시진핑 주석은 정부 산하 기업에겐 지원을 강화하고 외국기업에겐 규제를 강화하며 주요 부문에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그러나 A.I.의 미래 패권 다툼에서 승리를 거머쥐려는 중국의 꿈은 쉽게 실현될 것 같지 않아 보인다. 이 주제를 다룬 매킨지의 올 6월 보고서는 ‘A.I.의 많은 도전과제는 근본적으로 글로벌 차원의 문제다. 한 국가가 혼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구글 차이나 대표를 역임한 카이푸 리 Kai-Fu Lee는 A.I.로 인해 과거 미국이 주도해온 ’대발견 시대(Age of Discovery)‘에서 중국이’구조적 이점‘을 누리는 ’기술접목의 시대(Age of Implementation)‘로 변화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가장 큰 동력은 무엇일까? 데이터와 연산력, 그리고 유능한 엔지니어들 덕분이다. 이 모두 세계 최다 인구국에 유리한 조건들이다.

그럼에도 A.I. 지지자들 또한 인공지능이 수백만 명의 일자리를 빼앗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단순반복 제조업에 크게 의존하는 국가로선 암울한 전망이다. 그렇다면 중국은 어떻게 대처할까? 딥러닝 기술 또한 중국에 심각한 질문을 던질 것이다.

번역 두지현 dj9101@naver.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