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회성 추경으론 성장률 못 높여…"경제체질 바꿀 JM 플랜 필요"
경제·금융 정책 2025.07.07 17:33:58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을 1.9%로 끌어내린 배경에는 인구 고령화와 노동 저생산성, 한계에 부딪힌 민간 자본 투자 등 다양한 구조적 요인이 자리 잡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31조 8000억 원의 슈퍼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며 소비 자극에 나섰지만 일회성 재정지출로는 성장률 제고에 한계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최근 우리나라 경제는 투자·소비·고용 등 모든 면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5월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1% 감소해 두 달 연속 줄었고 설비투자는 4.7%나 급감하면서 석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소매판매는 보합세를 보였지만 그동안 내수가 워낙 부진했던 점을 고려하면 소비 회복 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다. 고용도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5월 실업률은 2.8%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0.2%포인트 하락했지만 고용 유발 계수가 높은 건설업은 13개월, 제조업은 11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건설업은 전년 동월보다 10만 6000명, 제조업은 6만 7000명이나 줄었다. 잠재성장률 전망 역시 우울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한국 경제는 2030년까지 6년간 연평균 잠재성장률이 1.5%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10년간 연평균 잠재성장률은 2031~2040년 0.7%, 2041~2050년 0.1% 등 지속해서 중장기 하락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도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 하락 속도가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특히 빠른 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정부가 단기 경제 대책에 더해 △자본시장 활성화 △노동생산성 제고 △미래 첨단산업 육성 △규제 해소 등 장기 대책들을 담은 장기 계획인 ‘JM플랜’을 내놓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우리 경제가 이미 추세적인 잠재성장률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어 정부 주도의 체계적 경제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과거 경제 부처 장관을 지냈던 한 전직 관료는 “2차 세계대전 직후 프랑스 정부는 노사정 합의를 통한 계획경제인 ‘모네플랜’을 통해 급속한 경제 발전에 성공했다”며 “국민적 지지도가 높은 이재명 대통령이 합의를 통해 경제 체질을 바꿀 중장기 계획을 내놓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우선 부동산에 고여 있는 자금을 기업공개(IPO), 벤처 투자, 인수합병(M&A) 등 생산적인 자본시장으로 돌려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 재정은 민간 활력을 북돋는 마중물일 뿐 실질적인 성장은 결국 기업이 만들어내기 때문에 기업 환경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다. 실제 2023년 말 기준 한국의 전체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경 6841조 원으로 그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약 7배에 달한다. 미국(3~4배), 일본(4~5배)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도 매우 높다. 같은 해 코스피와 코스닥 합산 시가총액은 2558조 원으로 명목 GDP의 1.14배에 그쳤다. 국내 자금의 상당 부분이 비생산적인 자산에 과도하게 쏠려 있는 셈이다. 경제활동인구가 줄어 노동 총투입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노동생산성 개선 작업도 빠른 시일 내 진행돼야 한다. 일률적인 주52시간제 적용 탓에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44.4달러로 OECD 38개국 중 33위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특히 이재명 정부가 주4.5일제까지 검토하고 있어 포용적인 이민정책과 남북 경제협력 확대가 유일한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외국인 인력의 적극적 도입 등 과감한 정책적 시도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거 개성공단 사례에서 보듯 중소기업들은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북한의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여기에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새로운 먹거리도 찾아내 키워야 한다. 물론 이재명 정부도 AI에서 활로를 찾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인위적 경기 부양이나 모방을 통한 가짜 성장이 아니라 체질 개선과 창조를 기반으로 성장잠재력을 업그레이드하는 진짜 성장에 나서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 전현배 서강대 교수는 “AI는 앞으로 국가의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며 “AI 시대에 맞는 규제의 전면 재정비도 함께 풀어야 할 과제”라고 설명했다. -
기업공시[7월 7일]
증권 국내증시 2025.07.07 15:57:07<코스피 시장> ▲한화(000880)=이달 15일 한화 1우선주 상장폐지 ▲HJ중공업(097230)=1178억 원 규모 대전 삼성6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시공자 선정 ▲ESR켄달스퀘어리츠(365550)=주주배정 유상증자 결과 청약률 97.91% ▲삼성중공업(010140)=아프리카 지역 선주와 해양생산설비 본 계약 체결전 예비 작업 <코스닥 시장> ▲피노(033790)=엘앤에프와 80억 규모 NCM 전구체 계약 ▲젝시믹스(337930)=주당 50원 분기배당 결정 ▲비아트론(141000)=중국 업체와 100억 원 규모 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 공급 계약 ▲범한퓨얼셀(382900)=24억 원 규모 경주충효 수소충전소 압축패키지 제작·설치 계약 ▲센서뷰(321370)=한화시스템과 16억 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
[코스피] 5.19포인트(0.17%) 오른 3059.47 마감
증권 News봇 2025.07.07 15:36:10[코스피] 5.19포인트(0.17%) 오른 3059.47 마감 -
[마감 시황] 개인 매수 우위.. 코스피 3059.47(▲5.19, +0.17%) 상승 마감
증권 News봇 2025.07.07 15:34:09오전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가 개인의 '사자' 기조에 상승세로 돌아서, 전 거래일(3054.28)보다 5.19p(+0.17%) 오른 3059.47로 상승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은 1,527억을 순매수 했으며, 외국인은 915억, 기관은 835억을 각각 순매도 했다.업종별로는 음식료품업(+3.41%), 기계업(+2.54%), 보험업(+1.94%)이 강세를 보였으며, 통신업(-1.27%), 전기전자업(-1.19%), 의료정밀업(-1.06%) 등은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종목별로는 일동홀딩스(000230)가 29.97% 오른 9,540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일동제약(249420)(+29.95%), 동양생명(082640)(+19.21%)이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온타이드(005320)(-10.66%),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10.65%), LG헬로비전(037560)(-9.50%) 등은 하락 마감했다.금일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429개, 하락종목은 461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38:6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보험업(1.94%↑)
증권 News봇 2025.07.07 15:20:247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40p(+0.24%) 상승한 3061.68로, 38(매도):6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40%), 기계업(+2.92%), 보험업(+1.94%)이며, 약세업종은 비금속광물업(-1.07%), 전기전자업(-1.07%), 전기가스업(-1.0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보험업이 65:35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금속광물업은 24:76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1,477억, 기관은 888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576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일동홀딩스(000230)가 29.97% 오른 9,54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제약(249420)(+29.95%), 동양생명(082640)(+19.5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11.24%), 온타이드(005320)(-9.84%), LG헬로비전(037560)(-9.3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397개, 하락종목은 48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1:59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서비스업(0.21%↑)
증권 News봇 2025.07.07 15:00:187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8.43p(+0.28%) 상승한 3062.71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33%), 기계업(+2.51%), IT 서비스업(+1.85%)이며, 약세업종은 전기가스업(-1.19%), 비금속광물업(-1.13%), 통신업(-1.1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서비스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26:7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1,084억, 기관은 1,121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42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일동제약(249420)이 29.01% 오른 17,92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홀딩스(000230)(+26.57%), 동양생명(082640)(+18.4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온타이드(005320)(-10.00%), LG헬로비전(037560)(-9.50%), 엑시큐어하이트론(019490)(-9.4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00개, 하락종목은 47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서비스업(0.21%↑)
증권 News봇 2025.07.07 14:30:167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9.53p(+0.31%) 상승한 3063.81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20%), 기계업(+2.72%), IT 서비스업(+1.81%)이며, 약세업종은 전기가스업(-1.33%), 의료정밀업(-1.18%), 통신업(-1.0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서비스업이 56:44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25:75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577억, 기관은 1,446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15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일동제약(249420)이 28.80% 오른 17,89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홀딩스(000230)(+24.80%), 동양생명(082640)(+17.25%)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LG헬로비전(037560)(-9.95%), 온타이드(005320)(-9.67%), 코오롱모빌리티그룹우(45014K)(-7.7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95개, 하락종목은 47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서비스업(0.19%↑)
증권 News봇 2025.07.07 14:00:157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09p(+0.20%) 상승한 3060.37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38%), IT 서비스업(+2.12%), 기계업(+1.44%)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1.58%), 비금속광물업(-1.11%), 전기가스업(-1.0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서비스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25:75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528억, 기관은 1,336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962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일동제약(249420)이 27.00% 오른 17,64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홀딩스(000230)(+22.89%), 동양생명(082640)(+16.6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노루페인트우(090355)(-13.42%), LG헬로비전(037560)(-10.11%), 온타이드(005320)(-9.1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01개, 하락종목은 48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보험업(1.43%↑)
증권 News봇 2025.07.07 13:30:147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86p(+0.26%) 상승한 3062.14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58%), IT 서비스업(+2.40%), 보험업(+1.43%)이며, 약세업종은 의료정밀업(-1.21%), 전기가스업(-1.12%), 비금속광물업(-1.1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보험업이 60:4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금속광물업은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44억, 기관은 1,479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658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일동제약(249420)이 18.93% 오른 16,520원을 기록 중이고, 동양생명(082640)(+17.70%), 일동홀딩스(000230)(+14.5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LG헬로비전(037560)(-9.05%), 온타이드(005320)(-9.02%), 한화우(000885)(-8.8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07개, 하락종목은 47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증권업(0.67%↑)
증권 News봇 2025.07.07 13:00:167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00p(+0.20%) 상승한 3060.28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53%), IT 서비스업(+2.30%), 보험업(+1.35%)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1.88%), 의료정밀업(-1.39%), 비금속광물업(-1.0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증권업이 55:45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21:79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330억, 기관은 1,280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660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동양생명(082640)이 15.73% 오른 7,650원을 기록 중이고, GS피앤엘(499790)(+12.25%), 제이에스코퍼레이션(194370)(+10.5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온타이드(005320)(-9.18%), LG헬로비전(037560)(-9.05%), 한화우(000885)(-8.9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74개, 하락종목은 50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보험업(1.43%↑)
증권 News봇 2025.07.07 12:30:107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55p(+0.12%) 상승한 3057.83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42%), IT 서비스업(+2.34%), 보험업(+1.43%)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1.99%), 의료정밀업(-1.32%), 전기가스업(-1.0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보험업이 55:45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금속광물업은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470억, 기관은 1,042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578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동양생명(082640)이 16.19% 오른 7,680원을 기록 중이고, GS피앤엘(499790)(+11.54%), 제이에스코퍼레이션(194370)(+11.11%)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한화우(000885)(-8.98%), LG헬로비전(037560)(-8.75%), 온타이드(005320)(-8.3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67개, 하락종목은 51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3056.37, 상승세(▲2.09, +0.07%) 반전
증권 News봇 2025.07.07 12:00:23개장 초 하락세로 출발했던 코스피이 개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세에 장 중반 강세 전환했다.7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09p(+0.07%) 오른 3056.37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동반'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459억, 기관은 902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429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음식료품업(+3.42%), IT 서비스업(+2.51%), 보험업(+1.50%)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건설업(-2.01%), 전기가스업(-1.16%), 전기전자업(-1.14%)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동양생명(082640)이 17.10% 오른 7,740원을 기록 중이고, GS피앤엘(499790)(+11.25%), 달바글로벌(483650)(+10.29%)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LG헬로비전(037560)(-10.56%), 한화우(000885)(-8.63%), 온타이드(005320)(-8.0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83개, 하락종목은 50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증권업(0.35%↑)
증권 News봇 2025.07.07 12:00:157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92p(+0.10%) 상승한 3057.20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37%), IT 서비스업(+2.48%), 보험업(+1.62%)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2.10%), 비금속광물업(-1.15%), 전기전자업(-1.0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증권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금속광물업은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459억, 기관은 902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429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동양생명(082640)이 16.94% 오른 7,730원을 기록 중이고, GS피앤엘(499790)(+11.25%), 달바글로벌(483650)(+10.3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LG헬로비전(037560)(-10.56%), 한화우(000885)(-8.63%), 온타이드(005320)(-8.0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80개, 하락종목은 50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금융업(0.93%↑)
증권 News봇 2025.07.07 11:30:107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61p(+0.09%) 상승한 3056.89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음식료품업(+3.38%), IT 서비스업(+2.30%), 보험업(+1.44%)이며, 약세업종은 건설업(-1.95%), 비금속광물업(-1.12%), 의료정밀업(-1.0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금융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비금속광물업은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외국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개인은 384억, 기관은 749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204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동양생명(082640)이 17.40% 오른 7,760원을 기록 중이고, 제이에스코퍼레이션(194370)(+11.76%), 동방(004140)(+11.5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LG헬로비전(037560)(-10.41%), 온타이드(005320)(-9.02%), 한화우(000885)(-8.8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78개, 하락종목은 49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알테오젠, 코스피 이전 기대감에 다시 ‘들썩’… 5%대 상승 [Why 바이오]
산업 바이오 2025.07.07 11:25:40알테오젠(196170)이 코스피 이전 상장 이슈가 다시 부각되며 주가가 반등하는 모습이다. 2대 주주가 390억 원 규모의 주식을 추가 매입하면서 코스피 이전 필요성을 강조한 데 이어 글로벌 허가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최고제품책임자(CPO)로 영입하면서 회사에 대한 신뢰와 성장 기대감이 동시에 반영되는 모습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오전 11시 20분 기준 알테오젠은 전 거래일 대비 5.19%(1만 9500원) 오른 39만 5000원에 거래 중이다. 알테오젠의 반등 배경에는 2대주주 형인우 스마트앤그로스 대표의 대규모 주식 매입과 코스피 이전 요청이 있다. 형 대표는 이날 개인 블로그를 통해 본인과 배우자가 지난달 총 12만 주, 약 390억 원 규모의 주식 추가 매입을 밝히면서 코스피 이전 요청 사실을 언급했다. 그는 “알테오젠이 과거 코스닥 시장에서 시가총액 1위를 기록한 이후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에게 코스피 이전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고 말했다. 형 대표는 “코스피 이전은 기업 이미지 제고뿐만 아니라 패시브 자금 유입과 주가 방어력 측면에서도 유의미하다”며 “2025~2026년부터는 수천억 원대 영업이익이 기대되는 만큼 코스닥에서 기업가치가 과소평가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머크의 키트루다SC가 이르면 3분기 내 판매허가를 획득하고, 4분기부터 본격적인 마일스톤 수익이 유입될 것”이라며 “ALT-B4 미국 특허도 1~2주 내 등록될 전망이기 때문에 더 이상 이전을 주저할 명분은 없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이날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허가 전문가 이영필 박사를 부사장(CPO)으로 영입한 것도 주가 상승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박사는 LG생명과학, 삼성바이오에피스 등에서 24년 이상 근무하며 FDA와 EMA로부터 총 7건의 항암·면역계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이끈 CMC 전문가다. 최근까지 유전자치료 벤처기업 공동대표로 연구개발과 사업개발을 총괄한 바 있다. 알테오젠 관계자는 “이번 영입을 통해 기술이전 실행력과 품질·생산·CMC 고도화가 동시에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고 밝혔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