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정치·사회최신순인기순

  • 오스트리아 고등학교서 총기 난사…최소 10명 사망
    오스트리아 고등학교서 총기 난사…최소 10명 사망
    정치·사회 2025.06.10 21:59:32
    오스트리아 제2의 도시 그라츠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으로 최소 10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 10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엘케 카어 그라츠 시장은 오스트리아 APA 통신에 "오늘 아침 총격 사건으로 현재까지 10명이 숨졌다"며 "사망자 중에는 학생들도 있고 여러 명의 부상자가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전했다. 경찰에 따르면 총격범은 사건 후 사망했다. 총격범의 신원과 범행 동기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경찰은 단독 범행으로 추정 중이다. 경찰은 이날
  • LA시위 강경대응에 '트럼프 칭송' 입장 바꾼 머스크
    LA시위 강경대응에 '트럼프 칭송' 입장 바꾼 머스크
    정치·사회 2025.06.10 20:44:5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틀어진 관계가 로스앤젤레스(LA) 시위를 계기로 미묘하게 개선되는 분위기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폭언을 퍼붓던 머스크는 이민자 시위에 대한 대통령의 초강경 대응에 동의를 표하며 과거의 폭언을 수습하고 있다. 머스크는 9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소셜 게시물을 캡처해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엑스(X·구 트위터)에 공유했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와 캐런 배스 LA 시장이 시위에 대한 책임을 지고 LA 시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 中 ‘희토류 무기화’ 통했다…백악관 “美 반도체 -中 희토류 ‘빅딜’ 검토”
    中 ‘희토류 무기화’ 통했다…백악관 “美 반도체 -中 희토류 ‘빅딜’ 검토”
    정치·사회 2025.06.10 17:54:52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공급 재개를 위한 협상 카드로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통제를 완화하는 ‘빅딜’을 적극 검토하고 나섰다. 케빈 해싯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9일(현지 시간) 미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반도체 수출통제 완화가 중국의 희토류 공급 재개의 절충안(trade off)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미국 측의 수출통제가 완화되고 (중국으로부터) 희토류가 대량으로 공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반도체 수출통제 완화 대상에) 엔비디아 H20 등
  • 軍작전하듯 강경 대응…'시위 불길' 시카고·워싱턴까지 번지나
    軍작전하듯 강경 대응…'시위 불길' 시카고·워싱턴까지 번지나
    정치·사회 2025.06.10 17:05:10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불법 이민자 단속에 대한 항의 시위로 촉발된 로스앤젤레스(LA) 소요 사태가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군의 정예 전투 자산인 해병대 700명을 포함해 주(州) 방위군 2000명을 추가로 파견하기로 했다. 전날 주 방위군 2000명이 이미 LA에 배치된 상황에서 추가 병력 동원에 나선 것으로 LA 시위 대응에 총 4700여 명이 배치되는 셈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규모 병력 동원을 통한 강경 대응 의지를 밝히고 있는 만큼 조기에 시위를 진압하려 한다는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시위가
  • "우크라 화약고 될 것" 위협 수위 높이는 러[글로벌 왓]
    "우크라 화약고 될 것" 위협 수위 높이는 러[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6.10 16:30:12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긴장이 격화하고 있다. 러시아가 '여름 대공세'에 나서며 전쟁 발발 이후 최대 규모의 드론 공격에 나선 가운데, 평화 협정 없는 휴전에 들어갈시 핵전쟁이 발발할 수 있다는 위협까지 나왔다. 우크라이나와의 평화협상 러시아 측 단장인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크렘린궁 보좌관은 9일(현지 시간) 러시아 매체 RT와의 인터뷰에서 "진정한 평화에 합의하지 않고 단순히 휴전 협정만 맺을 경우 이 지역은 '카라바흐'처럼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라바흐는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
  • '유럽을 다시 위대하게' 돈풀기 나선 獨에 글로벌 큰 손 몰린다[글로벌 왓]
    '유럽을 다시 위대하게' 돈풀기 나선 獨에 글로벌 큰 손 몰린다[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6.10 15:25:15
    미국 4대 사모펀드 중 하나인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가 향후 10년간 독일에 최대 1000억 달러(약 136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경제성장을 위해 공격적인 재정 투입을 선언한 독일을 보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각이 달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9일(현지 시간) CNBC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짐 젤터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유럽의 ‘르네상스’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향후 10년간 독일에만 최대 1000억 달러의 자금을 투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외 지역에서는 이례적으로 큰 규모다. 카테
  • 68조 원 내다 판 국민연금, '이재명 시대' 매도 멈췄다[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68조 원 내다 판 국민연금, '이재명 시대' 매도 멈췄다[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정치·사회 2025.06.10 15:16:03
    지난 1월부터 미 달러에 대해 숏(매도) 포지션을 이어오던 국민연금공단(NPS)이 매도를 멈췄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제까지 국민연금은 달러 대비 원화 가치를 방어하기 위해 이같은 포지션을 취해 왔는데요. 이달 이재명 대통령 당선에 따라 정치적 리스크가 완화되는 등 원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이를 지속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10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국민연금이 최근 내부 투자 지침에 따라 달러 매도를 중단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국민연금은 원화가 달러당 1450원까지 떨어지며 약세를 보이던 지난 1월 달러
  • “美 예산적자 더 늘어…부채 한도 8월 중순~9월 말 소진”
    “美 예산적자 더 늘어…부채 한도 8월 중순~9월 말 소진”
    정치·사회 2025.06.10 11:35:05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을 반영한 예산조정안이 미 연방 상원 의회에서 논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연방정부의 부채 한도가 오는 8월 중순에서 9월 말 사이에 소진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5월 월간예산검토(Monthly Budget Review) 자료를 9일(현지 시간) 발간했다. CBO는 “연방정부 부채 한도가 수정되지 않으면 정부가 특별 조치를 통해 차입할 수 있는 능력이 오는 8월 중순부터 9월 말 사이 소진될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당초 8월 초 조기 소진
  • 백악관 “美 반도체 -中 희토류 ‘빅딜’ 검토”
    백악관 “美 반도체 -中 희토류 ‘빅딜’ 검토”
    정치·사회 2025.06.10 10:47:10
    중국과 2차 무역협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이 중국의 희토류 공급 재개를 위해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케빈 해싯 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9일(현지 시간) 미 CNBC 방송 인터뷰에서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완화가 중국의 희토류 공급 재개의 절충안(trade off)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미국 측의 수출 통제가 완화되고 (중국으로부터) 희토류가 대량으로 공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다만 해싯 위원장은 중국을 겨냥한 어떤 수출 통제가 완화될지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 李 '항일 배지'에 긴장한 日…시진핑보다 먼저 통화에 '안도'
    李 '항일 배지'에 긴장한 日…시진핑보다 먼저 통화에 '안도'
    정치·사회 2025.06.10 10:39:59
    이재명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보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먼저 취임 전화 통화를 나눈 데 대해 일본 언론이 다소 안도하는 평가를 내놓았다. 일본 언론들은 다만 이전 더불어민주당 정권인 문재인 정부 시절 한일 관계가 최악의 늪에 빠졌던 데다 이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항일을 상징하는 ‘진관사 태극기’ 배지를 달았다는 점에서 긴장의 끈은 완전히 놓을 수 없다고 분석했다. 10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가 지난 9일 약 25분간에 첫 통화를 나누면서 한일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특히
  • 中비야디 가격 인하하자…글로벌 천연고무 가격 '휘청'[글로벌 왓]
    中비야디 가격 인하하자…글로벌 천연고무 가격 '휘청'[글로벌 왓]
    정치·사회 2025.06.10 10:36:30
    세계 1위 전기차(EV) 제조업체 비야디(BYD)가 최근 파격적인 가격 인하를 발표하면서 천연 고무 국제 가격이 급락했다. 자동차 타이어는 천연 고무 수요의 70%를 차지하는 주 수요처다. 10일(현지 시간)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오사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벤치마크 고무 선물 가격은 지난 3일 기준 전 거래일 대비 4% 내린 kg당 280엔을 기록했다. 지난해 2월 이후 최저치다. 상하이 거래소의 고무 선물 가격도 4일 기준 메트릭톤당 1만 3300위안 아래로 잠시 떨어졌다. 이번 가격 하락은 비야디가 자사 주요 브랜드의 22개 모
  • [속보] "트럼프 행정부, LA에 해병대 700명 파견"
    [속보] "트럼프 행정부, LA에 해병대 700명 파견"
    정치·사회 2025.06.10 07:06:19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LA에서의 대규모 시위에 대응해 약 700명의 해병대원을 현장에 파견했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 주요 외신이 9일(현지 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한 미국 국방부 관계자는 "캘리포니아주 트웬티나인 팜스 해병대 기지에 주둔하는 해병대원들이 주말에 통보를 받고 이동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민주당 소속 게빈 뉴섬 주지사는 즉각 반발했다. 그는 X(엑스, 옛 트위터)에 "미 해병대는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여러 전쟁에서 명예롭게 복무했다"며 "독재 대통
  • 트럼프, 내란진압법까지 검토…‘LA 폭동' 33년 만에 군 투입 악몽[글로벌 모닝 브리핑]
    트럼프, 내란진압법까지 검토…‘LA 폭동' 33년 만에 군 투입 악몽[글로벌 모닝 브리핑]
    정치·사회 2025.06.10 05:58:00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LA에 주방위군 300명 급파 강행…긴장 고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발생한 대규모 시위에 300명의 주(州) 방위군을 급파한 데 이어 ‘내란진압법(Insurrection Act)’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무리한 관세정책에 따른 경제적 부담에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의 갈등 등으로 리더십에 상처를 입자 ‘불법 이민자’ 문제를 부각시켜 국면을 전환하려는 정치적 노림수라는 해석이 나옵니
  • “경찰이 방송 중인 기자에게 ‘탕!’”…LA 시위 과잉 진압 논란
    “경찰이 방송 중인 기자에게 ‘탕!’”…LA 시위 과잉 진압 논란
    정치·사회 2025.06.10 05:30:00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불법 이민자 체포·추방에 반발해 벌어진 대규모 시위가 격해지는 가운데, 현장을 취재하던 기자가 고무탄에 맞는 일까지 발생해 논란이 일고 있다. 9일(현지 시간) 호주 매체 ‘나인 뉴스(Nine News)’에 따르면, 미국 특파원 로렌 토마시(Lauren Tomasi) 기자는 전날 로스앤젤레스 시내에서 열린 시위를 취재하던 중 경찰이 쏜 고무탄에 다리를 맞았다. 나인 뉴스는 자사 홈페이지에 해당 상황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속에서 경찰관은 토마시 기자와 촬영기자를 향해 총구를 조준하고 발사했다
  • '재무장' 獨, 징병제 도입 논의 활발…“남여 모두 의무복무 도입” 주장도
    '재무장' 獨, 징병제 도입 논의 활발…“남여 모두 의무복무 도입” 주장도
    정치·사회 2025.06.09 22:44:03
    독일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재무장’을 추진하는 가운데 징병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여성도 남성과 똑같이 의무복무 책임을 지워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는 모습이다. 9일(현지 시간) 주간지 슈테른에 따르면 토마스 뢰베캄프 연방의회 국방위원장은 “학업을 마치는 70만명 중 연방군 복무를 선택하는 사람이 1만명에 불과하다”며 “자유와 번영을 누리려면 타인의 의무에만 기대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남녀 모두에게 적용되는 일반적 의무복무제 도입을 요구한다”고 짚었다. 여기서 언급된 의무복무는 군입대를 포함해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