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IBM은 5,300억개의 뉴런을 모방한 컴퓨터를 갖고 있고, 쥐의 뇌를 세포단위까지 모델링하는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Blue Brain Project)’도 진행 중이다. 앨런 뇌과학 연구소 또한 뇌 유전자가 어떻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지를 매핑하고 있다. 이런 프로젝트들의 몇몇은 오랫동안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아왔다. 즉 이번 발표는 어찌 보면 이미 정부가 하고 있던 일을 새삼 생색내는 것과 같다.
게다가 뇌 연구는 벌써 상업성을 갖춰가고 있기도 하다. 헤드셋을 착용한 채 생각을 집중해 공을 움직이는 ‘마인드플렉스 듀엘’ 등 장난감 가게에만 가도 뇌-기계인터페이스(BMI)를 살 수 있다.
국민의 혈세를 쓰는 정부라면 금전적 이익을 챙길 기회가 널려 있어 기업들이 알아서 투자하는 분야보다는 누구도 투자하지 않으려는 분야, 기업들은 감당하기 힘든 연구를 지원해야 한다. 암 치료법 같은 것 말이다.
지금껏 의학계는 의약품이든 수술이든 환자가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방식으로 암을 치료해왔다. 완벽한 암 완치법이 개발되면 연간 820억 달러 규모의 항암 산업이 붕괴된다. 기업이 굳이 천문학적 돈을 투자해 연구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향후 정부가 암 연구비를 증액한다면 사람들은 암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임을 깨닫고 치료보다는 예방을 우선시하는 생활문화가 조성될 수도 있다. 이는 심장병, 당뇨병, 비만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또 더 많은 저소득층 자녀들이 학업을 마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에도 돈을 투자할 필요가 있다.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범죄율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1990년 고교 졸업생의 비율이 1%만 상승했어도 그해 10만건의 범죄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기도 했다.
반면 민간기업은 범죄 예방에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이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면 한 세대, 즉 3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탓이다. 그나마 그 이익마저 투자자에게 전부 돌아가는 것이 아닌 국민들이 나눠 갖는다.
기업은 자선사업가가 아니다. 정부는 이 점을 명확히 직시해야 할 것이다.
암 완치법이 개발되면 연간 820억 달러 규모의 항암 산업이 붕괴된다. 기업은 이런 분야에 연구비를 쓰지 않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