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기본으로 회귀하는 GE

WORLD’S MOST ADMIRED COMPANIES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br>INDUSTRY LEADER 업계 선두 주자<br>GE GETS BACK TO BASICS

거의 모든 분야로 발을 뻗었던 제조업계 거인이 오랜 여정 끝에 다시 본래 자리로 돌아오고 있다.
by Erika Fry

기업 개요
본사 코네티컷 주 페어필드
직원 30만 5,000명
사업 분야 가전 제품 디자인 및 제조, 에너지, 보건, 항공, 운송 장비. 금융 서비스 회사도 운영.


전구에서 기관차, MRI 촬영장비, 원자로, 상업대출, 유명 시트콤 셰인펠드 Seinfeld와 부엌 싱크대(GE는 1935년 세계 최초로 음식찌꺼기 처리기 디스포잘 Disposall을 개발했다)까지, 1878년 설립된 제너럴 일렉트릭보다 수많은 분야에서 더 광범위한 브랜드 인지도를 구축한 기업은 거의 없다. 1892년 에디슨 제너럴 일렉트릭 Edison General Electric이 경쟁사 톰슨 휴스턴 Thomson-Houston을 인수한 후 곧 GE의 대규모 인수합병 전통이 시작됐다. 이후 120년 동안 GE는 제조업계 초대형 기업으로 성장했고(GE는 세계 최대 민간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다), 미국 혁신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포춘이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Fortune’s Most Admired Companies) 순위에 꾸준히 이름을 올렸고, 올해는 전체 11위와 전기 분야 1위를 차지했다. 또 포춘 500대 기업 8위에 오르기도 했다.


단순함을 유지하다
GE는 1896년 만들어진 초기 다우존스 산업지수 상장 업체 중 유일하게 생존한 기업이지만 2008년에 위기를 맞았다. 금융 서비스업 부문인 GE 캐피털-어느덧 급성장해 GE 수익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 ‘성역’이나 다름 없었던 배당금을 줄여야 했고, 워런 버핏에게 긴급 자금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경고 신호를 받아들인 GE는 슬림화 작업에 착수했다. 그 결과 GE 캐피털의 규모 축소, NBC유니버설 매각, 전통적인 핵심 사업에 초점을 맞춘 포트폴리오 구성을 완료했다.


과거는 서막
지난해 GE는 켄터키 주 어플라이언스 파크 Appliance Park-공교롭게도 Appliance는 가전제품을 뜻하는 단어다-에서 온수기 생산을 시작했다. 50년 만에 새로운 제품 라인을 내놓은 것이다. 그동안 GE는 점차 미국 내 생산시설을 줄이고, 좀 더 저렴한 해외 공장으로 진출해왔다. 그러나 지난 2009년 다시 국내에서 고용을 창출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결과, 국내 공급망 덕분에 좀 더 저렴하고 신속한 생산이 가능해졌다.


GE와 연구개발
GE의 CEO 제프 이멀트 Jeff Immelt가 좋아하는 통계가 있다. 바로 지난 10년간 GE가 연구개발 예산을 두 배로 늘렸다는 것이다. 그는 10년 단위가 아닌 1년 단위로 새로운 엔진과 가스 터빈을 개발하겠다는 약속으로 이를 뒷받침한다. GE는 또 ‘산업 인터넷’에도 투자를 하고 있다. 빅 데이터를 활용해 더욱 효율적인 기계를 생산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애널리스트 앤드루 오빈 Andrew Obin은 GE가 이런 노력을 통해 고객과 더욱 가까워짐과 동시에 이미 중요해진 서비스 매출(제조업 분야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이 크게 증대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16,000 GE가 미국 내에서 2014년까지 창출하려는 일자리 수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