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NASA: 영광의 50년

키워드로 보는 반세기의 미 항공우주국

미 항공우주국(NASA)은 1959년 창설 이래 정기적으로 전 세계 항공우주기술 발전 동향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보도자료와 뉴스 기사를 메인 소스로 활용하는 이 보고서에는 우주왕복선, 달 착륙 등 인류 우주개발 역사에 이정표를 세운 사건에 대한 내용도 모두 담겨 있다.

이 인포그래픽은 연구기업 OCR이 490만 단어, 1만1,000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분석해 추출한 4,000여개의 키워드로 만든 것이다. 여기에는 주요 단어들의 등장 빈도는 물론 각 단어들을 주제별, 시간대별로 분류해 놓았다. 이를 보면 인간을 우주로 보낼 방법에 대한 NASA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1958년 10월 11일
NASA 최초의 무인우주선 ‘파이어니어 1호’가 발사됐다.

1961년 4월 12일
구 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인류 최초의 우주비행에 성공했다.

1961년 5월 25일
케네디 미 대통령이 1960년대 내에 달을 유인 탐사하겠다고 공식 천명했다.

1963년 5월 12일 뉴스
미 부통령 린든 B. 존슨은 이렇게 말했다.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중 어떤 사상이 우주를 지배할까요? 저는 공산주의자들이 점령한 달빛을 받으며 잠을 청하고 싶지 않습니다.”

1960년대 말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NASA 보고서에 언급되기 시작했다.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이 ‘아폴로 11호’를 타고 달 착륙에 성공했다.

1972년 12월 7~19일
현재까지 마지막 달 유인 탐사로 남아있는 아폴로 17호 임무가 실시됐다.

1975년 7월 17~19일
미국과 소련의 우주선이 44시간 동안 도킹하며 최초의 합동 우주임무를 수행했다.

1977년 9월 5일
태양계 밖까지 비행하도록 설계된 최초의 우주선 ‘보이저 1호’가 발사됐다

1978년 2월 22일
최초의 GPS 시험 위성 ‘나브스타 1호’가 지구 고궤도로 발사됐다.

1981년 4월 12일
최초의 우주왕복선 콜롬비아호가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됐다.



1986년 1월 28일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발사 후 73초 만에 공중 폭발했다.

1980년대 말
구 소련이 해체되기 직전 몇 년은 NASA 역사에서 소련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언급이 가장 적었던 시기다.

1990년 4월 24일
허블 우주망원경이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에 실려 발사됐다.

1992년 5월 18일
우주왕복선 선장인 다니엘 브랜든스테인이 뉴욕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젊은이들의 도전의식과 희망을 고취시킬 강력한 우주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1994년 2월 3~11일
세르게이 크리칼레프가 러시아 우주비행사로는 최초로 미국의 우주임무에 투입됐다.

1997년 7월 4일
무인 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가 에어백을 이용해 화성 표면에 안착했다.

2000년 11월 2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첫 승무원이 탑승했다.

2003년 2월 1일
우주왕복선 콜롬비아호가 임무를 마치고 지구 대기권에 재돌입하던 중 폭발했다.

2004년 6월 21일
미국 버진갤럭틱의 ‘스페이스십 원’이 민간 우주선 최초로 준궤도 비행에 성공했다.

[INDEX]
NASA 보고서를 키워드로 검색해 인공위성, 달, 연구개발, 로켓, 우주왕복선, 러시아(소련) 등 6개 주제에 관련된 기사를 선별했다. ‘미르(Mir)’에 대한 기사는 ‘러시아’로 분류하는 식이다. 이후 각 기사에서 해당 주제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문장들을 추출한 뒤 추출된 문장의 숫자에 따라 주제별·연도별로 그래프의 형상을 결정했다. 보고서 전체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단어일수록 크게, 특정 주제에서 빈도가 높으면 밝게 표시했다. 예컨대 ‘아폴로 프로젝트’는 ‘케네디’ 대통령보다 밝은 색을 가진다. 케네디는 여러 주제에서 발견되는 반면 아폴로 프로젝트는 달에 대한 주제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그래프의 배경에는 ‘ing’로 끝나는 단어들을 배치했으며, 흰색 점은 NASA의 예산을 나타낸다.

OCR The Office for Creative Research.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