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네오스타즈] 유비벨록스 "스마트카드 등 매출 증가 힘입어 제2도약"

NFC 도입 수혜로 실적 향상<br>스마트카 매출도 내년 본격화

이흥복 유비벨록스 대표



HMC투자증권 최병태 연구원

"안정적인 스마트카드 사업과 함께 최근 NFC도입에 따른 수혜로 매출 증가가 크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2014년부터는 스마트카 사업에 대한 매출도 본격화돼 유비벨록스의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될 것이다." 유비벨록스는 벨록스소프트(모바일 플랫폼 및 솔루션)와 유비닉스(스마트카드 제조)가 지난 2009년 6월 합병해 설립한 회사. 합병 1년후인 2010년 6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으며, 모바일 소프트웨어 기술을 카드, 핸드폰에 이어 자동차까지 적용해 독자적인 생존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카드 부분은 최근 정부와 이동통신사들의 NFC 도입에 따라 큰 호황을 누리며 올해 매출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흥복 유비벨록스 대표(38·사진)는 "이동통신사들의 근접무선통신(NFC)채용 증가와 공격적 4G전환에 따라 통신향 매출이 지속적인 호조를 보여 스마트카드부문의 실적 향상을 이끌 것이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올해 NFC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시장 점유율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난해 USIM시장의 약33%를 점유한 것으로 추정되나 올해에는 스마트폰 보급 증가와 NFC 및 4G의 대두로 인해 점유율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고 설명했다. USIM은 3G 이상의 핸드폰에 기본으로 탑재되는 칩으로 유비벨록스는 2009년부터 통신사에 USIM을 공급하고 있다. 유비벨록스는 지난 5월까지 이미 지난해 공급물량의 약 80%를 통신사에 공급했을 정도로 관련 사업분야에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 대표는 "공급물량 중 대다수가 NFC USIM으로 1분기 NFC USIM 시장의 약55%를 공급했다"며 "시장 상황은 갤럭시S2 출시를 시작으로 하반기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단말기에 NFC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될 예정이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단순히 NFC USIM 제공에서 벗어나 NFC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구축 등 NFC 에코시스템을 구축하며 사업자와 사용자간의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여기에 모바일 부문도 스마트폰 사용자 증대로 꾸준히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내년부터 기업중심의 앱스토어 시대가 열리면 기업형 앱 매출이 전년 대비 59% 가량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유비벨록스의 기업형 앱 매출은 2010년 80억원에 이어 2011년 109억원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기업형 앱이 본격화되는 2012년은 168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 대표는 "기업형 앱을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며 "기업형 앱을 제공하는데 휴대폰(갤럭시폰/아이폰)에 제한이 있을 경우 고객의 불만으로 이어져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그는 "유비벨록스의 강점은 11년간 다양한 플랫폼/솔루션에 대한 경험이 있어 거의 모든 단말기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스마트폰 관련 토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라며 "현재 통신사 및 제조사, 증권사 등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스마트TV 등 이종 디바이스 앱도 개발 중에 있다"고 말했다. 특히 향후 앱의 활용이 스마트폰에서 벗어나 태플릿PC, TV 등 다양한 기기와 스크린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N스크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유비벨록스에게 또 융합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는 기회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스마트카 사업 또한 내년 말부터 본격적인 매출증대로 연결될 전망이다. 올해 차량원격제어시스템 서비스 제공으로 약 50억원의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비벨록스는 이미 현대차와의 긴밀한 상호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가 지난 2006년과 2009년 유비벨록스 지분을 총 5.7% 취득한 것에도 긴밀한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 대표는 "유비벨록스는 축적된 모바일 기술을 차량용 디바이스로 확대 적용하며 스마트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며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스마트카에서도 플랫폼/솔루션 구축, 운영/관리, 콘텐츠에서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